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4/02 15:18:43
Name 쿨럭
출처 NC IR 자료
Subject [게임] 이제는 슬슬 걱정이 되는 게임회사
사실 리니지M만으로도 10년은 망할 걱정이 없는 회사이고 NC걱정은 하는게 아니라는 걸 압니다만,
최근 3년간의 추세는 확실히 좋지가 못하네요.


001

매출은 22년의 2조 5천억원에서 1조 5천억원으로, 영업이익은 5천억원 흑자에서 1천억원 적자로




002

모바일 매출에서도 리니지M만 유지가 되고 리니지2M과 리니지W는 계속 줄어들고 있고요.



003

지역별 매출에서도 아시아(아마도 리니지 라이크 많이 하는 대만이 젤 크겠죠?)가 1/3토막이 났습니다.



그 사이에 나온 TL, 호연등은 다른 의미(?)로만 화제가 되어버리고 주가는 오늘 10년간 최저가인 147,400원을 찍었었습니다.
넥슨과 크래프톤이 계속 잘나가는 가운데, 체질 개선을 모색하고 있는 엔씨는 과연 부활할 수 있을건지 앞으로의 행보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신성로마제국
25/04/02 15:22
수정 아이콘
TL,호연 등을 안 내고 그 돈으로 배당이나 했으면 어땠으려나
덴드로븀
25/04/02 15:32
수정 아이콘
결과는 똑같았을겁니다. 그걸 안한다고 매출이 늘진 않았을테니까요.
닉네임을바꾸다
25/04/02 15:45
수정 아이콘
매출은 그대로일지언정 개발비용이랍시고 지출은 줄었을거라...이익쪽은 모르긴하죠...
데몬헌터
25/04/02 17:39
수정 아이콘
그냥 천천히 은퇴준비나 하라는 말의 다른 표현이라..
25/04/02 15: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이온이 은근 돈이 되네요?

지금 상황이 조직 논리의 측면에서 보면 이해가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
성공의 기준이 린M 이고, 이것을 뛰어넘을 돈(게임)을 만들기는 불가능하니 TL 이나 호연이 나오는거죠.
25/04/02 15:26
수정 아이콘
그래서 주주들 달래는 최후의 무기가 '우리한테는 아직 아이온 모바일이 남아있다'죠.
OcularImplants
25/04/02 15:39
수정 아이콘
tl은 의외로 해외 스팀에서는 그냥 퍼디 수준 정도는 됐습니다.
bm도 뭐 맹독성은 없고요.
뭐 물론 간에 기별도 안 가는 게 문제입니다
기무라탈리야
25/04/02 15: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이온은 롤이 강림하기 전까지 피씨방 1위 최다기록도 해본 밥줄중 하나일 겁니다
김유라
25/04/02 17:57
수정 아이콘
다들 하는 말 중 하나가 어떻게 엔씨같은 회사에서 아이온과 블소 같은 게임이 나왔지 입니다 크크크크
25/04/02 15:29
수정 아이콘
블라가 아무리 주작 있는 곳이라곤 해도
nc달고 있는 애들만 유독 압도적으로 겜알못들이 많았죠...
덴드로븀
25/04/02 15:29
수정 아이콘
회사의 기본은 적자가 나더라도 매출이 무조건 늘거나 유지해야 하는게 좋은건데
코로나19 같은 예측못할 외부요인없이 매출이 저렇게 폭락해버리면 회복이 정말 힘들죠...
Rorschach
25/04/02 15:32
수정 아이콘
그래프 때문에 잠시 오해(?) 했는데 PC 전체 매출이 린M보다 적군요.

그런데 연도별 매출 보면 모바일+PC 보다 20% 정도 높은데 NC가 다른 어디에서 매출이 나오는거죠?
25/04/02 15:50
수정 아이콘
24년 같은 경우는 로열티가 1,800억원 기타가 1,000억원 정도 되네요. 로열티는 TL 글로벌 매출이 주가 되는 것 같습니다.
덴드로븀
25/04/02 15:34
수정 아이콘
[NC소프트 주가]
2025년 04월02일 : 148,600
2024년 07월11일 : 191,200
2024년 05월30일 : 196,000
2023년 11월27일 : 271,000
2022년 11월28일 : 453,000
2021년 11월26일 : 695,000
2020년 11월27일 : 822,000
2020년 7월 10일 : 944,000
This-Plus
25/04/02 15:39
수정 아이콘
와 고점은 장난 아니네요...
스덕선생
25/04/02 15:40
수정 아이콘
저 영광의 시기(?) KBO 우승하고 린의지가 집행검을 들었는데 말이죠 크크
25/04/02 17:56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향후 운영전략은 야구단에 투자?
쪼아저씨
25/04/02 15:51
수정 아이콘
80만원대에 샀다가 40만원대에 팔면서 피눈물을 흘렸는데, 그때라도 팔았던 내 자신을 칭찬합니다.
스덕선생
25/04/02 15:39
수정 아이콘
역설적인 이야기긴 한데 맹독성 BM이 있는 게임일수록 무과금 유저에 대한 배려가 필요합니다.

그걸 지르는 소수의 유저들은 돈이 남아돌아서 어디에 쓸 줄 몰라서 사는게 아니니까요.
내가 돈을 써서 이 게임 전체에 갑질(...)을 하겠다는 일념으로 지르는거죠.
갑질을 당할 유저층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으면 굳이 나서서 독을 마실 사람도 없습니다.

그런데 NC는 무과금은 진행이 안 되는 수준의 게임을 만들더군요.
그래서야 누가 삽니까. 내가 자랑을 하고 갑질을 할 무과금층이 없는데요
류지나
25/04/02 15:47
수정 아이콘
이 분야의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김실장님 유튜브를 보고 말씀을 드리자면
엔씨도 바보가 아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알고, 그래서 의외로 엔씨겜도 무/소과금 비중이 제법 됩니다.
고래들 사건 사고가 눈에 띄어서 그렇지, 모든 유저가 고래만 있다면 어떻게 생태가 돌아가겠습니까?

다만 엔씨겜은 현질러와 비현질러가 전투력의 격차가 극명한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무소과금러가 그냥 학살만 당하는 존재는 아니고, 결국 리니지는 진영 싸움을 하는 게임인데
상대 핵과금러는 우리 핵과금러가, 상대 무소과금러는 우리 무소과금러가 출동해서 맞다이(?)를 까는 게임이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무소과금러들도 존재의의가 있다고 합니다.
25/04/02 17: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김실장 유튜브의 리니지 분석 영상의 대부분이 3-4년 전, NC 초고점 시절임은 감안해야 합니다. 지금은 무소과금 은 진영에 들어가는 것이 불가능해서 저런 생태계도 돌아가지 않는 상황이고 말씀하신 그런 역할의 무과금은 멸종해버렸습니다.

실제로 해당 유튜브도 NC가 내리막을 걸을때 리니지 관련 영상은 대부분 사건사고 영상..
25/04/02 18:44
수정 아이콘
어찌보면 당연한 이야기네요. 리니지라이크의 범람으로 유저풀 자체가 줄어든 상황이라 기존 과금유저들도 전반적인 과금 규모가 줄어드니까 아예 저점을 높여둘 수 밖에 없겠군요.
25/04/02 15:42
수정 아이콘
리니지라이크가 범람하기 시작하면서 리니지의 철옹성이 순식간에 무너져버리고 본질이 드러나버렸죠.
게임으로선 별 가치가 없고 그냥 슬롯머신에 스킨 씌운 그 무언가... 진짜로 아무나 만들수 있는 유사 게임 소프트웨어.

회사가 경쟁력을 가질수 없으면 주가가 처박히는건 당연하죠.
25/04/02 15:54
수정 아이콘
오딘의 등장이 진짜 컸던 것 같아요.
투전승불
25/04/02 15:51
수정 아이콘
길드워2 매출 비중이 꽤 되네요. 외국 회사 투자 나름 성공한 건가.
25/04/02 15:51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이 정도 아이템과 기술력, 아이디어로 이 정도면 충분히 벌어먹은거 아닌가 싶네요...
기술력이 아까우면 다른 브랜드를 파서 만들고 팔았어야..
25/04/02 16:15
수정 아이콘
코로나때 벌어들인 돈으로 다른 길을 찾아야 했다고 봅니다.
리니지m 리니지2m 까지야 사업자 마인드로 충분히 그럴만하다고 생각하지만
그 이후는 뇌절이였죠.
코로나가 엄청난 기회였다고 생각했는데 그 이후로 나온게 블소2, 호연이라니;
ChojjAReacH
25/04/02 16:17
수정 아이콘
물론 그전에도 NC 까는 분위기는 대단했지만 리니지w 광고 웨이브 때 커뮤니티 전반적으로 가열차게 까던게 생각이 나네요.
그게 21년 6월이었으니 참 오래됐네요.
25/04/02 16:19
수정 아이콘
코로나때 돈 많이 들어온다고 사람 괜히 더 안뽑고 그냥 있는 인원으로 리니지 장인이 되어 리니지만 주구장창 팠으면 충분히 잘 나갔을것 같은데 말입니다. 그라비티처럼 수십년째 라그나로크만 지분거리면서도 돈 잘 버는 애들이 있는데....

그러고보니 야구단도 회사돈 쓴다고 했던것 같은데 어...
데스크탑
25/04/02 16:42
수정 아이콘
겜 리뷰어 유튜버가 엔씨겜이지만 생각보다 할만한데? 소리 정도만 해도 폭격 맞을 정도로 국내선 이미지가 너무 안좋아서..
활로를 찾으려면 해외에서 반응이 올만한 게임을 만들어봐야죠.
RedDragon
25/04/02 16:53
수정 아이콘
사실 아무리 이미지가 안좋아도 게임 잘 만들면 돌아옵니다. 문제는 리니지 라이크류 말고는 다 망하고 있어서...
"리니지" 장르를 잘 만드는 건 인정하는데, 어짜피 이쪽 장르는 파이가 정해져 있고, 있던 파이마저 계속 뺐기고 있으니..
저니 오브 모나크는 나름 매출 잘 나온다고 들었는데, 키우기류 특성상 1년 넘기기 힘들어서, 결국에는 리니지 장르 클래식으로 올해를 버티면서 다른 장르의 웰메이드 게임을 만들긴 해야 할 겁니다.
25/04/02 17:07
수정 아이콘
희망퇴직 받고 어찌저찌 똥꼬쇼 하고있지만
여전히 덩치가 너무 큽니다.
최소 3000명이 넘어가는데 제 3자가 봐도 저게 뭐 회생할 방법이 현실적으로 있나 싶긴 합니다
서서히 절벽에서 떨어지는거 보는 느낌입니다.

라이브 서비스 게임을 확 줄이면서 직원 정리 하기도 애매
개발쪽을 줄이자니 미래를 버리는 느낌이고
글로벌 히트작 뽑을 능력이나 의지에는 물음표가 붙고
개고기 게임 혐오감은 높아만지고
25/04/02 18:28
수정 아이콘
로스트아크
리니지이터널

둘이 출시전까지 기대감도르 하고 있을때가
마지막 기회아니었을까
25/04/02 18:37
수정 아이콘
마비노기 모바일 보면 알겠지만 하기전에 대놓고 욕 먹어도 게임이 할만하면 꽤 많이 합니다.
니케도 좋은 예 중 하나고요.
호연 같은건 실제로 오래 할법한 게임이 아니었음
25/04/02 18:58
수정 아이콘
100찍을때 용돈 좀 벌었었는데 대충봐도 8토막이군요..
그래도 딱히 15가 매력적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11~12쯤 가면 생각해볼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41507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69135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73092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84169
514011 [게임] 이번에 소전2에서 나오는 미슈티 뽑아야 하는 이유 [6] 된장까스1761 25/04/03 1761
514007 [게임] 철권8 핫픽스 예정 [13] 롤격발매기원2444 25/04/03 2444
514005 [게임] 스파6 프로급 티배깅 [1] STEAM1689 25/04/03 1689
513996 [게임] 그야 말로 만우절같은 철권8 평가그래프.jpg [11] Thirsha4217 25/04/03 4217
513982 [게임] 실시간 2000플 논쟁중인 게임 대결 [60] 코우사카 호노카4717 25/04/03 4717
513979 [게임] 스위치2 왜이렇게 비싸죠 전 못살것같네요 [27] Cand3542 25/04/03 3542
513977 [게임] 한정판매중! 철권8 시즌2를 대정상화한 잭8 [4] STEAM1394 25/04/03 1394
513976 [게임] 스파6 초대형 악재 STEAM1217 25/04/03 1217
513966 [게임] 마비 2 염색 근황 [4] 김티모3727 25/04/03 3727
513965 [게임] '닌텐도의 조삼모사' [7] 된장까스5089 25/04/03 5089
513963 [게임] 스위치2 가격 현재 반응 상황 [11] 된장까스5968 25/04/02 5968
513961 [게임] 싱글벙글 현재까지 닌텐도 다이렉트 요약.txt [70] 김유라7252 25/04/02 7252
513960 [게임] 무심하게 별거아닌거처럼 한다면 그 사람은 고수다 김삼관3532 25/04/02 3532
513939 [게임] 이제는 슬슬 걱정이 되는 게임회사 [35] 쿨럭5379 25/04/02 5379
513930 [게임]  철권8 최선의 공격이 최선의 방어 [15] STEAM2543 25/04/02 2543
513922 [게임] 세가의 결단을 지지합니다 [7] Cand3680 25/04/02 3680
513917 [게임] 전직 개발자출신 스트리머 마비노기 모바일 평가 [16] 유머7021 25/04/02 7021
513911 [게임] 마비노기 귀족영애의 삶.mabinogi [6] 유머3644 25/04/02 3644
513909 [게임] T1 발로란트 팀 선수 Buzz 대리였네요. [3] 김삼관3439 25/04/01 34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