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20 02:47
환경 문제 나오면 커뮤에서 언제나 거의 척수반사급으로 중국 탓만 하는 게 패시브가 됐죠 크크크 현실은 그 중국이 탄소 배출 저감에 얼마나 큰 돈을 쓰고 있는데 언론과 정치인들이 진짜로 정치 논리에 찌들어서 그냥 인식을 버려놨습니다. 그렇다고 이제 와서 인정하자니 지금까지 거의 온갖 선동과 혐오로 돈 룩 업을 해온 게 있어서 어떻게 바로잡기도 힘들어 보이는데….
25/04/20 02:47
개소리죠. 한국은 환경파괴의 근원인 인간을 제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세계에 필요한 물건 만들어 공급하는 제조업국가에 온실가스 타령하는건 양심에 좀 문제가......
25/04/20 04:03
주로 발전에서 한국이 좀 문제가 많죠....
아직까지도 포기 하지 않는 석탄 화력 + 지지부진한 신재생..... 원전이 어쩌구 저쩌구 하는데, 솔직히 말해서 원전은 그냥 핑계죠.... 화력을 계속 돌리기 위한.
25/04/20 06:06
크크크 누구나 자기 잘못 지적하는 건 듣기 싫긴 하죠. 이미 기후위기 대응은 조별과제라 망했어요... 우리나라가 기후 위기로 다른 나라 욕할 자격은 없어요.
+ 25/04/20 07:59
기후악당국가? 대부분 들어본 적도 없는 단어일 겁니다. 밑에 소스 부분은 캡쳐를 짜르고 올리셨는데, 유럽 환경단체에서 만든 단어고 국내 환경단체가 재생산을 많이 해서 구글AI가 저렇게 답변하는 거죠.
+ 25/04/20 08:01
"기후악당국가"라는 표현은 국제적으로 공식 용어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기후변화 대응에 소극적이거나 오히려 방해하는 국가들을 비판적으로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이런 평가는 주로 온실가스 배출량, 재생에너지 비중, 기후정책의 진전 정도, 국제 협력 참여도 등을 기준으로 이루어집니다.
다음은 여러 국제 평가에서 자주 거론되는 "기후악당국가"들입니다: --- 1. 중국 세계 최대의 이산화탄소 배출국 (전체의 약 30% 이상) 석탄 화력발전소 의존도 높음 다만 재생에너지 투자는 활발해 양면적인 평가 존재 2. 미국 세계 2위 배출국 과거 트럼프 행정부 시절 파리기후협약 탈퇴 등 기후정책 후퇴 사례 바이든 정부 하에서는 다시 협약 복귀 및 친환경 정책 추진 중이지만, 내부 산업 로비와 정치적 분열이 대응력 저해 3.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수출 중심 국가로, 화석연료 의존도 높고 탈탄소 정책 소극적 국제 무대에서 탄소 감축 방해 움직임 다수 포착됨 4. 러시아 석탄,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수출국으로, 재생에너지 비중 매우 낮음 기후협약에서의 이행 속도 느림 5. 호주 석탄 수출 대국 국내 정치권에서 기후변화 부정론 영향력 있음 국제 평가에서 자주 기후악당국가로 지목됨 --- 참고: 국제 기후 성과지수 (CCPI, Climate Change Performance Index) 매년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 성과를 순위로 발표 한국도 몇 년 전까지 하위권에 있었으며, 석탄 의존, 온실가스 감축 미흡 등으로 비판을 받았음
+ 25/04/20 08:24
실제 탄소배출량보다 탄소배출에 대한 국민들의 태도가 더 문제죠
더 효율좋은 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해서는 투자를 해야하고 양산된 제품을 소비해야하고 어느 수준에 도달하면 저렴해지는데 초기 투자비용만 보고 욕하고있는게 현실이죠
+ 25/04/20 08:58
선진국들이 현재까지 배출해놓은 온실가스는 '인류문명 발전'을 위한 대의라며 책임안지고 돈안내고 입닦다가 현재 배출중인 온실가스 얘기할때만 인류의 분업체계 무시하고 어느나라 나쁘니 하는거 보면서, 지구온난화는 절대 해결안될 노답사항이란걸 확신하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