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1/15 17:34:15
Name 미뉴잇
Subject [질문] 전세 재계약 묵시적 갱신으로 하면 임대인이 불리한게 맞나요?
제가 1년 6개월 전 전세를 준 아파트가 있는데요.
이제 만기가 슬슬 다가오는데 세입자는 연장을 원하는데요.
금액은 인상 없이 할려고 합니다.
이런 경우 묵시적 갱신보다 2년 계약서를 새로 작성하는게 나을까요?

제가 찾기로는 묵시적 갱신하면 자동으로 2년 연장이 되고 이런 경우
임차인이 나가고 싶을때 언제든지 3개월 전에 나갈 수 있다는데 이러면
3개월안에 임차인을 다시 구해야 하니 매우 번거로울거 같은데요..

이런 경우 계약서를 새로 작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아아아암
23/11/15 17:39
수정 아이콘
네 임대인은 불리하죠. 2년 살길 바라시는거면 재계약하시는게 낫습니다. 잘 구해지는 곳이면 뭐 재계약 하는것도 일인데 그냥 두셔도 되구요.
미뉴잇
23/11/15 17:44
수정 아이콘
네 답변 감사합니다.
23/11/15 19:23
수정 아이콘
재계약 해도 마찬가지일겁니다.
첫 2년은 의무로 지켜야 하지만, 이후로는 2년 계약을 해도 2년 풀로 의무사항이 아닌걸로 알고 있어요.
몽키매직
23/11/15 19:54
수정 아이콘
갱신권 청구 케이스에 대해서 묵시적 갱신 준용한 판결과 준용하지 않은 판결이 각각 있어서 뭐가 맞는지 모두가 어리둥절한 상태고
계약서 다시 쓰는 경우는 당연히 계약서 명시된 기간대로죠.
23/11/15 20:02
수정 아이콘
첫 계약시에는 2년 되기전에 보증금 반환 요구를 하면 2년 될때까지는 거부를 할 수 있으나, 연장계약이나 재계약시에는 계약 만료와 관계없이, 3개월 전에만 통보하면 임대인에게 보증금 반환 의무가 생기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몽키매직
23/11/15 21:44
수정 아이콘
아닙니다. 계약을 새로한 것이면 계약서를 따릅니다.
23/11/15 22:00
수정 아이콘
계약갱신청구권을 쓰면 해지도 언제든 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몽키매직
23/11/16 06:48
수정 아이콘
갱신청구권 사용한 것과 재계약한 것은 완전히 다른 이야기인데요...
갱신청구권 사용하면 추가로 2년 보호받는 대신 추가로 갱신청구권 사용이 불가능하고요. 임대인이 3개월 보호냐 2년 보호냐에 대해서는 상반된 판례가 있느느상황이고요.
재계약을 하는 경우는 계약을 다시하는 경우라 계약서에 써진대로 이행해야되는 거고 대신 갱신청구권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추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23/11/16 07:01
수정 아이콘
재계약시에도 갱신청구권 사용에 관한 내용을 넣을 수 있습니다.
이건 제가 직접 해봐서 알아요.
몽키매직
23/11/16 08:01
수정 아이콘
그건 갱신청구권을 사용하신 경우입니다. 본문의 재계약과는 다른 케이스에요. 그리고 그 경우에도 임대인 보호가 3개월인지 2년인지에 대해서 확실한 것은 없습니다. 각각의 판례가 존재합니다.
만약 재계약이고 계약서에 갱신청구권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특약을 넣었다면 그건 효력이 없습니다.
저는 임대인/임차인으로서 각각 계약 상태이고 저보다 임대차 계약 많이 해보셨을 것 같진 않습니다...
코카스
23/11/15 19:57
수정 아이콘
합의하에 '재계약'을 했으면 기간 준수를 해야 하고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했다면 임차인이 3개월전에 계약 종료를 통보할 수 있습니다.
하아아아암
23/11/15 20:47
수정 아이콘
제가 아는 선에서는 재계약은 아닙니다.

재계약은 같은 사람하고 하는 것일뿐 계약과 동등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3672 [질문] 다이어트 식단 질문드립니다. [26] 그림속동화7849 23/11/22 7849
173671 [질문]  제가 예능 프로그램을 좋아합니다. 추천 부탁드립니다. [18] 레뽀7443 23/11/22 7443
173670 [질문] 편의점 빵 추천부탁드립니당!! [6] 월터화이트7656 23/11/22 7656
173669 [질문] 미중 무역 분쟁과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질문입니다. [4] 엔지니어7999 23/11/22 7999
173668 [질문] 윈도 11 쓰고 있는 분 있나요? [19] 독각9124 23/11/22 9124
173667 [질문] 아반떼 색상을 보고 정하려면 대체 어디를 가야할까요? [13] 삭제됨10003 23/11/21 10003
173666 [질문] 게임기 문의 플5, 엑박 [16] 키커스면8061 23/11/21 8061
173665 [질문] LOL 페이커의 업적과 실력을 스타나 농구에 비교한다면? [23] Meister10346 23/11/21 10346
173664 [질문] 아이패드 파일 관리 앱 기본 거 쓰면 되나요? [4] 사람되고싶다7112 23/11/21 7112
173663 [질문] 새아파트 입주 관련 질문 [23] FallingInLuV8725 23/11/21 8725
173662 [질문] 가성비 모니터 추천부탁드립니다. [12] 이민들레8335 23/11/21 8335
173660 [질문] 그래픽이 화려한 게임은 아닌데. 게임을 시작하면 살짝 그래픽이 어두워졌다가 다시 밝아집니다. [5] 유목민9529 23/11/21 9529
173659 [질문] 전기 면도기 헤드를 식세기에 넣어서 세척하면 어떨가요? [5] 아스트랄7933 23/11/21 7933
173658 [질문] PC견적 질문드립니다. [6] 어라라8596 23/11/21 8596
173657 [질문] 롤 전반적으로 공부하는데 몇시간 정도 소요될까요? [22] 젤리롤9141 23/11/21 9141
173656 [질문] 롤 선수 계약이 단기계약이 많은 이유가 뭔가요? [14] 8250 23/11/21 8250
173655 [질문] 신행으로 리조트 위주의 휴양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요하네즈7556 23/11/21 7556
173654 [질문] 커뮤니케이션 공포를 해결하는 법이 있을까요? [13] 토파즈8050 23/11/21 8050
173653 [질문] 골프 / 헬스 같이 하시는 분 계신가요? [13] 승뢰7801 23/11/20 7801
173652 [질문] 영상 감상용 컴 견적 부탁합니다. [18] ryu05889689 23/11/20 9689
173651 [질문] 병원 상담실장, 코디네이터 이런사람들의 진료? [5] 흰둥7766 23/11/20 7766
173650 [질문] 롤 영구정지 당했습니다. [5] 유아린7733 23/11/20 7733
173649 [질문] 어머니가 스미싱을 당하신것 같은데요.. [10] 다리미9711 23/11/20 97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