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1/07 12:14:46
Name 독서상품권
Link #1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001137?sid=104
Subject [일반] 오늘 미국에서 최초로 조류독감으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수정됨)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001137?sid=104

제 생각에 저 기사에서 말하는 독감은 아래 자게에서 언급한 그 독감과 똑같은 독감이라고 생각됩니다

다름이 아니라 조류독감이라고 하네요

최근에 중국에서 시작돼서 한국에서도 그 발병자 수가 체감상 엄청나게 느는것같던데

상당히 조심해야 하겠습니다

최근에 발생한 조류독감인지라 치사율도 코로나 초기때처럼 높을거 같아서 더 염려가 되기도 하고요

저도 그렇고 가족들도 그렇고 당분간은 상당히 조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 미국 증시도 상당히 고점이라고 생각되는데 이 조류독감이 예전 코로나때처럼

전세계 증시 단기 대폭락을 불러올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할거 같군요

물론 저는 그런일 없이 예전에 메르스 사태처럼 찻잔속의 태풍으로 짧게 끝나기를 기대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ruithne
25/01/07 12:21
수정 아이콘
지금 유행하는 인플루엔자와 AI는 별개 아니었나요?
독서상품권
25/01/07 12:36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제가 방금 글을 수정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둘이 연관성이 있는것 같아서 그렇게 쓴것입니다
덴드로븀
25/01/07 12:43
수정 아이콘
링크건 뉴스 제목처럼 글 제목도 조류독감으로 하는게 어떨까 싶네요.
독서상품권
25/01/07 12:50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방금 수정했습니다
25/01/07 12:34
수정 아이콘
?
덴드로븀
25/01/07 12:43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4/0000030351?sid=103
[美 최초 H5N1 조류독감 사망자 발생…위험성 의견 분분] 2025.01.07.
루이지애나주 당국은 사망자가 조류를 통해 H5N1에 감염됐으며 사람 간 감염이 일어난다는 근거는 아직 없다고 밝혔다.
사망자 발생 후 추가 감염 사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20년간 H5N1에 감염돼 사망한 사례 = 약 500건 / 대부분 동남아시아
미국 기준 올해 66명 H5N1 감염 / 사망자 발생은 이번이 처음
맥도널드
25/01/07 12:48
수정 아이콘
최근 유행하는 독감과 조류 독감은 같나? 다르다
두 독감은 A형 독감이냐? 그렇다

그래서 헷갈리시는 듯
25/01/07 12:58
수정 아이콘
계절성 인플루엔자랑 뭐가 똑같다는 건지
기적의양
25/01/07 13: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2024/2025 시즌 백신 조성입니다: A/Victoria/4897/2022 (H1N1)pdm09-like virus; A/Thailand/8/2022 (H3N2)-like virus; B/Austria/1359417/2021 (B/Victoria lineage)-like virus

H5N1은 아닙니다.
찾아보니까 H5N1 백신은 별도로 존재하네열. 가축용 백신은 전부터 있었고 사람용 백신은 시험중이라는 듯.
축산을 안해서 모르는데 보통 닭, 오리들에게 백신을 맞히나열 @_@?
숨고르기
25/01/07 13:30
수정 아이콘
지금 국내 유행중인 독감은 인플루엔자A/ H1N1 형으로 원래 돼지독감 바이러스였고 2009년에 떠들썩했던 신종플루 사태때 처음으로 확산이 시작된 바이러스입니다. 사람에게 집단면역이 형성되지 못한 새로운 형태의 항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초기에 폭발적인 유행을 하면서 높은 치사율을 기록하지만 나중에는 계절인플루엔자로 반복되면서 독성이 순화되는 코스를 거칩니다. H5N1으로 대표되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도 "신종독감"이 될 수 있는 잠재성을 갖고 있어서 사람에게 감염사례가 산발적으로 확인될 때마다 관심이 집중되는 것이지요.
웜뱃어택
25/01/07 13:33
수정 아이콘
그니까 미 중 한 에서 유행중인 독감이 전부 중국발 조류독감이라는거군요. 완벽히 이해했어!
겨울삼각형
25/01/07 13:33
수정 아이콘
아님말고
Betelgeuse
25/01/07 14:51
수정 아이콘
AI의 시대가 온다…
승승장구
25/01/07 16:52
수정 아이콘
여왕의 심복님이 복귀하시는 일은 절대 없길...
LuckyVicky
25/01/07 17:50
수정 아이콘
제목만 고치는게 아니라 내용도 고치셔야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3581 [일반] 임금체불액이 2조로 사상최대에 도달했다고 합니다. [85] 김유라12640 25/01/21 12640 32
103580 [일반] 트럼프 대통령 "미국 정책에서 성별은 남성과 여성만 인정" [506] 마그데부르크29327 25/01/21 29327 30
103578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69. 허물 건(䇂)에서 파생된 한자들 [8] 계층방정3279 25/01/21 3279 3
103568 [일반] 또 주차된 차를 긁다 [34] 깃털달린뱀7431 25/01/20 7431 10
103562 [일반] (그알)영남 부녀자 6연쇄 실종 사건 [27] 핑크솔져10304 25/01/19 10304 3
103561 [일반] 이해하기 어려운 슬픔들에 관한. [12] aDayInTheLife5626 25/01/19 5626 8
103554 [일반] [뒷목주의] 3개월 징계먹은 보험직원 안 봐주기로 결심한 이야기 [34] 플레스트린9089 25/01/19 9089 48
103550 [일반] <리얼 페인> - What is Left Afterwards.(약스포) [2] aDayInTheLife2951 25/01/18 2951 2
103547 [일반] 알덴테는 정답이 아니다. [53] 럭키비키잖앙11529 25/01/17 11529 7
103544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68. 수풀 림(林)에서 파생된 한자들 [6] 계층방정4816 25/01/17 4816 4
103540 [일반] 제 항의로 인해 보험사 직원이 3개월 징계 받는다고 합니다. 용서해줘야 할지 고민되네요. [173] 플레스트린14306 25/01/16 14306 18
103538 [일반] 해외 주식형 토털리턴(TR) ETF가 사라집니다. [31] Regentag7436 25/01/16 7436 1
103533 [일반] ‘9명 사망’ 시청역 역주행 참사 운전자 최후 진술은…“나는 최고의 운전자, 멍청하게 행동 안해” [52] 주니뭐해10770 25/01/16 10770 1
103531 [일반] 공매도 행동주의 펀드, 힌덴버그 리서치 사업 중단 [11] 김유라6313 25/01/16 6313 2
103528 [일반] 위고비 초기 후기 [81] Lord Be Goja13022 25/01/15 13022 13
103524 [일반] 펌) 누나가 죽었다. [66] 전기쥐11364 25/01/15 11364 101
103516 [일반] 천상 문돌이가 보는 비트코인 단상 [43] 깃털달린뱀7653 25/01/14 7653 3
103515 [일반] [웹소설추천]디펜스게임의 폭군이 되었다. [19] 12있는5592 25/01/14 5592 1
103513 [일반] [설문] 미국의 팽창주의 우리는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할까요 [76] 슈테판4749 25/01/14 4749 0
103511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67. 깎을 예(乂)에서 파생된 한자들 [6] 계층방정2837 25/01/14 2837 4
103509 [일반] AGI시대에 대한 전망 [24] 퀀텀리프6464 25/01/13 6464 9
103508 [일반] CGV. 일부 스크린X 상영관 축소 [25] SAS Tony Parker 6284 25/01/13 6284 0
103502 [일반] 베텔게우스(Betelgeuse)와 시간 [23] 글곰4778 25/01/13 4778 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