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04/01 13:53
-_-;; 압박해서 뉴게에 글은 지웠어-_-; 나뻤어.
모뎀과 통장의 시대가 다시 도래하고. 다시 낭만 vt모드로 돌아갈수 있는 환경이-_- 생길지도.
04/04/01 13:54
pgr에 오는것마저 몸을 사릴 저를 생각하니 암담해지는군요..
시국이 어수선한 틈을 타 사용자들을 물먹이려는 KT는 각성하라!각성하라!
04/04/01 13:58
저도 그얘기를 한 일주일전에 들었습니다.
저희 회사 네트웍담당자한테 들었는데... 그사람말로는 지들이 ADSL 풀어서 전용회선 회사 다 죽여놓고 이제 와서 종량제로 돈벌려고 한다고.. 만약에 진짜 종량제로 바뀐다면 우리나라 인터넷에 기반을 두고 있는 회사들 95% 이상 문을 닫아야할겁니다. 특히 온라인게임회사 문닫아야 하구요.. 스타도 베넷 사용자들 엄청 줄어들겁니다.. 단순히 다운로드얼마 받냐에 따라 금액을 책정하는게 아니라... 사용하는 패킷수에 따라 금액을 내야 한다는겁니다. 스팸메일 하루에 100통 오는사람은 보고 받고싶지도 않은 스팸메일 받아서 하루에 몇만원을 써야 하는사태가 벌어질수도 있는것이며,온라인게임하는사람은 하루에 2시간이상하기 힘들어질것입니다...정말 KT에서 종량제를 감행한다면 아마도 엄청난 파장이 예상되며, 절대 하지말았으면 합니다..
04/04/01 13:59
전 종량제가 실제 실행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생각하는데요... 일단 종량제 실행되면..무슨 리니지니... 피디박스니.. 뭐 이런거 싹 다 죽습니다.
일단 주가가 반에 반토막 날테고.. 글고 무엇보담도 정치권에서 종량제를 실행하게 두지 않을겁니다. 인터넷보급의 덕을 톡톡히 보면서 이번 총선에서 의석수 1위가 유력시 되는 당에서 과연 저런게 실행되게 가만히 냅둘까요?.... 전 세계에 유례가 없는 종량제라는 걸 말입니다... 전 그냥 한국통신이나 그밖에 인터넷선 사업주들의 희망사항일 뿐이라고 생각하는데요;;;;
04/04/01 14:06
주 목적이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 때문에 적게 사용하는 사람들이 인터넷 사용할때 피해를 본다고 알고있는데....
정확한 이유가 있나요?...무슨..인터넷 이용자들이 다 게임만 다운받는줄 아나?.... 그리고 또하나...전국 3만여개의 겜방들은 문을 닫겠군요...
04/04/01 14:12
밑에도 이에 관한 게시물이 있고, 제 의견도 거기에 누누이 적어놔서 별 말 않겠습니다.
종량제는 패킷,메가당 얼마 얼마라는 황당한 종량제가 될것 같지는 않고, 월 정액제 얼마에 사용량 몇기가로 제한이 걸려질것 같습니다. 많은 나라에서도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죠.
04/04/01 14:17
하지만 인터넷하다보면 아시겠지만 가만히 내비둬도 올라가는 패킷 많죠 그리고 메신저 다양한 프로그램들 엄청납니다 그거 자체가 낭비되는 패킷이죠 사용량 몇기가로 제한 걸려진다지만 지금 그 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나라는 대부분 한국에 비해서 it후진국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뭐 한국에 비해 압도적인 국력 가진 나라야 뭐 기본 인프라때문이라도 상위에 위치해 있지만 겨우 kt 및 몇몇 통신회사 돈벌어주자고 한국 산업 근간을 뒤흔들만한 일을 저지르다니요
04/04/01 14:33
종량제 해도 패키지는 여전히 안 팔립니다.
차라리 안 하고 말지...이런생각이니 머 종량제하면 인터넷 당장에 끊을거지만
04/04/01 14:59
종량제 실시하면 국민모두 단합해서인터넷 다끊어버리면 -_-;;
그리고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인터넷 종량제를 실시한다고 하더라도 정품유저증가에 대한 효과는 미미하다는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인터넷 이 활성화 되지 않았던 시절에도 흔히 돈 7000원 정도 주고 구워주는데가 있었으니까요. 지금 RW가 안달려 있는 피시가 없는만큼 복제정도야 식운죽 먹기죠. 차이라면 하드에 넣고 쓰느냐 시디에 넣고쓰느냐 정도..
04/04/01 15:03
종량제 시행에 대해서 절반만의 찬성입니다.
확실히 인터넷을 사용해야 하지만 피시방에서 돈을 쓰기엔 너무 많은 돈이 나가는 이들이 있을 겁니다. 그런 이들은 분명 종량제에 대해 환영하리라 보입니다. 하지만 윗 분들이 여려번 말씀하신 IT 기업들은 싹 다 죽습니다. (이유는 위에도 많으니 적지 않겠습니다) 종량제와 정액제를 반반 섞는 게 아니라 종량제도 있고 정액제도 있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종량제에 대한 가격 책정이 어떻게 되는 가도 상당히 중요하겠고요. (만약 위에 써놓은 10M/500원 이라면 죄다 타 통신회사로 옮길 겁니다)
04/04/01 15:10
한국통신에서 KT...
한국이동통신에서 SK Telecom... KTF는 KT자매 회사구요, 공기업이 아니라 반공기업(?)으로 알고 있습니다.
04/04/01 15:47
절대로 안 됩니다. 만약 종량제 실행되면 단체로 불매운동을 벌여나가야 합니다.
그리고 패키지 게임 말씀하시는데 분명히 저처럼 대작들 나오면 무조건 사모으시는 분들 있으실 겁니다. 저의 경우 삼국지 시리즈, 대항해시대 시리즈,창세기전 시리즈, 영걸전 시리즈,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시리즈 등등 해서 게임을 즐기든 즐기지 않든 그냥 사모으는 취미까지 있을 정돈데.. 어차피 종량제를 하더라도 안 살 사람은 안 사고 저처럼 살 사람은 살 거란 말입니다... 정말 답답하군요.. 이제 하루에 15시간 이상 인터넷을 하는 건 불가능 하단 말인지..
04/04/01 15:49
전 종량제 찬성하는 입장이지만 10메가에 500원이면
글쎄요...너무 비싸네요 500Kbps VOD의 경우 계산해보니까 3.8MB/분 이고.. 하루에 한시간씩 한달동안 그런 VOD를 접한다면 대략 7GB정도인데 500원/10MB라면 한달에 무려 30만원!을 넘는군요 뭐..VOD패킷에 좀 싼 값을 매길수도 있겠지만....음......그렇다고해도...
04/04/01 15:53
The Essay//KT는 공기업이 아닌 공사였었습니다.
국가와 사기업이 반반이었죠 원래 체신부 소속이었다가 80년 초반에 분리독립(?) 되었습니다. 그리고 한국통신공사가 정확한 명칭이었고 2002년 완전 민영화되면서 URL도 co.kr이죠. 이번 참에... 담배인삼공사도 짚고 넘어가야겠군요. CI를 바꾸면서 KT&G를 Korea Tomorrow & Global Corporation로 재해석했더군요. 원래는 Korea Tobacco & Ginseng Corp 였었는데... 한국의 미래를 생각한다면서 왜 버젓이 담배를 파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Tobacco로 내버려두지. ㅡㅡ^
04/04/01 16:48
왜자꾸 윗사람들 하는 행동은 점점 퇴보하는듯한 느낌이 들까요 -_-a 탄핵사건도그렇고, 인터넷 종량제건도 그렇고..인터넷 종량제가 시행된다면 부정적인 효과가 클 것이 뻔하기 때문에 저도 반대하는 입장이지만, 'vividvoyage'님의 꼬릿말처럼 선택시행제도가 된다면 긍정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 그리고 사실 인터넷 종량제가 시행된다면 패키지 게임쪽이 살 것이라고 예측하는 사람들은 정말 근시안이라고밖에 할 수 없습니다. 제 사견이 거렇다는 것입니다.. ^^;
04/04/01 17:45
현재 사용자의 80%정도는 시행으로 인해 혜택을 입거나 혹은 현상을 유지할 수 있다면 부분적인 도입은 괜찮을 수도 있겠군요. 24시간 컴을 돌리면서 갖가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분들과 하루 2시간 내외로 가볍게 서핑을 즐기는 분들과는 차별을 두는 것이 좋겠죠. 회선이 늘어나고 트래픽 부담을 증가시키는 쪽은 10%내외의 소수일테니 적절히 제어해주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듯합니다.
04/04/01 18:21
저도 종량제 자체는 찬성하지만.. 가격이 너무 황당하군요.. 종량제를 하려면 평균 이하 사용자들은 현재보다 더 저렴한 가격만 내는 정도에서 타협해야 한다고 봅니다.. 저 가격은 누구라도 현재보다 더 비싼 요금을 물 거 같군요..ㅡ.ㅡa;;
04/04/01 18:48
그러니까 결론적으로 요금 선택의 기회를 다양하게 해주는 측면으로 종량제가 병행 될 수는 있겠지만 오로지 종량제만을 쓸 수 있다면 최악이겠네요;
04/04/01 19:02
다들 걱정하시고,IT근간이 흔들릴 꺼라고 하시고, 인터넷 사용에 타격을 입을것이라고 하시는데... 그럴일 없을 겁니다.
저도 현재 한달 용량제한 있는 종량제 인터넷 쓰고 있는데, 하루 종일 웹서핑하고 실시간 TV보고 해도 지장이 없답니다. 다만 P2P 돌리는 분들은 타격이 매우 크겠지요. 종량제 적극 찬성입니다. 밑에, 이 문제에 관한게시물에서 말한것과 같이, 지금 같이 P2P 프로그램 죽어라고 돌리면서 온갖 쓸데없는 쓰레기들 다운받는 사용자들이 근절됐으면 하네요.
04/04/01 21:16
그런데 아무리 생각을 해봐도 종량제는 KT만으로는 실현불가능한 정책 아닙니까? 종량제를 한다면 우리나라 개인인터넷 회사들 전부 담합했다는 소리로밖에 안들립니다. 하나로 두루넷 과 여러 소규모 회사들이 현제 유지되고 있는 이시점에서 KT가 종량제를 한다면 거의 대부분 다른곳으로 넘어가지 않을듯 싶습니다. 만약에 종량제를 한다면 이건 -_- 담합으로 신고를 해야 ㅡㅡㅋ
04/04/01 21:16
Toast Salad Man님/님께서 캐나다에 살고 계시다는 댓글을 전에 본 것 같습니다만.. 캐나다와 우리나라는 IT산업 및 인터넷에 대한 의존도가 다릅니다. 캐나다가 종량제해서 괜찮다고 울나라도 종량제해도 괜찮을거라뇨. 지금 그나마 IT산업에서의 인력소요가 없었으면 청년실업은 지금보다 얼마나 많아질지 모릅니다. IT기업들 다 나자빠지면 청년실업 5백만, 아니 청년실업 천만 시대가 올지도 몰라요. 그럼 김대중 정부가 이뤄놓은 업적은 다 까먹고 다른 나라들보다 그나마 가지고 있었던 경쟁우위도 다 잃고 바닥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그런걸 바라시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