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3/17 12:31:44
Name 총알이 모자라.
Subject 공상비과학대전 - 울트라리스크!! 편견을 버려!!
오늘은 울트라리스크 이야기입니다.

우선 매뉴얼입니다.

종류 : 대형 돌격대
출신 종족 : 브론토리쓰
주 무기 : 카이저 검

원래의 조상인 온순한 브론토리쓰와 전혀 닮은 바가 없어 보이는 울트라리스크는 저그 족의 지상 병력 중 가장 강력한 유니트이다. 저그 족 지상군의  대들보 역할을 담당한 이들은 어떤 종족의 장갑 차량보다도 강력하다. 이 거대한 괴물은 어떤 적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공격 병기로 활용된다. 그들의 등에서 뻗어나온 거대한 뼈처럼 생긴  갓은 거의 파괴가 불가능하며, 어떤 물질이라도 가볍게 자를 수 있다. 이 괴물에 접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공중에서 공격을 가하는 것이다.

방어력 400에 공격력은 20에 달하는 강력한 유닛인 울트라리스크. 강력한 만큼이나 그 크

기에서도 엄청난 크기를 자랑합니다.

화면상 저글링의 몸길이가 1cm - 자로  잰 것임- 울트라리스크는 4cm입니다. 저글링을

마린보다 약간 작은 1.5m로  가정하면, 울트라리스크는 몸길이 6m  정도가 됩니다. 그러

니까. 덤프트럭 정도의 크기가 됩니다. 인간의 표준체중을 구하는 방법을 응용해서 저글링

의 몸무게를 구하면 - (신장-100)×0.9=표준체중이라는 수식을 사용함- 45kg이 나옵니

다. 울트라리스크는 몸길이를 기준으로 4배정도의 체적을 가지므로 48배,  즉 2,160kg이

됩니다. 6m짜리 덩치에 2톤이 넘는 괴물이 뛰어 다니는 것을 직접 본다면...

그런데 저는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속도 업그레이드가 된 울트라리스크

는 저글링이 발업된 것과 그 속도가 갔습니다. 저글링의 발업 된 속도를 자를 이용해 측정

해본 결과 대략  시속 45km  정도로  측정되었습니다. 제가  찾아보니 코란도  한  대의 무

게가 1,800kg 정도입니다. 그러니까 울트라리스크는  코란도에 사람 가득  태우고 달리는

무게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정도의 무게와 속도라면 웬만한  상대는 그냥 박치

기로만 공격해도 견딜 수 없습니다. 실제로 덩치 큰 동물들의 주무기는 몸통 박치기입니

다. 탱크나 리버, 드라군 - 다 대형임-정도는 견딜 수 있다고 해도 게임상의 지상  유닛 중

울트라리스크의 몸통박치기를 견딜 수 있는 유닛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런데

도 몇 명의 메딕의 지원을 받는 머린 하나를 공격하는데도 어려움을 겪는 모습은 보는 이

를 안타깝게 합니다. 이왕 열심히 달려 왔으면  그 커다란 뼈가 아깝더라도 속도와  무게

를 살려서 한방에 박아 버리는 것이 훨씬 효과적인데 말이죠. 개인적으로는 공격에는  무

기를 꼭 이용해야 한다는 편견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안타까운  마음이 드네

요. 오버마인드가 정준하씨의 말을 좀 들어볼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결론은 그냥

받아버려라!!! 울트라리스크!! 입니다.

여하간 오늘은 저그인데도 지저분하지 않아 좋네요..

그럼 이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또 하나의 즐거
04/03/17 12:38
수정 아이콘
하하 재밌습니다.. 그리고 분석에 동의 합니다.. 울트라.. 세긴 세지만..
생각보다 세진 않죠.. 정말로 몇 명의 메딕의 지원을 받는 마린 하나 공격하는데도 힘드니 원..
FlyHigh~!!!
04/03/17 12:53
수정 아이콘
스타에 예외가 없다는게 좀 ^^;

이왕이면 파편에 맞아 데미지를 입는다던지 -.-
C&C처럼 하베스터에 깔리는 보병도 없고 -.-;;;
다리를 부순다는 개념도 없고 -_-;

하지만 이런게 있었으면 더 복잡해졌을거 같은 ^^;;

분석은 재밌네요 ^^;;
크게될놈
04/03/17 12:56
수정 아이콘
울트라는 세기 때문에 잘 안 터집니다.
키 드레이번
04/03/17 14:33
수정 아이콘
항상 읽으면서 느끼는 거지만,
정말 대단하십니다 -_- 乃
이 시리즈는 왜 추게로 가지 못하는지..^^;;
저그의모든것
04/03/17 14:46
수정 아이콘
'화면상 저글링의 몸길이가 1cm - 자로 잰 것임- 울트라리스크는 4cm입니다. 저글링을 마린보다 약간 작은 1.5m로 가정하면, 울트라리스크는 몸길이 6m 정도가 됩니다'

모니터에 자를 대신 열의와 과학적인 연구방법에서 뒤집어 졌습니다^^
재밌게 잘 보고 갑니다^^
게임의법칙
04/03/17 15:32
수정 아이콘
역시 과학을 논하시는 분은 뭐가 달라도 다르군요.
저도 자를 이용한 속도 분석에 올인하겠습니다.
04/03/17 17:08
수정 아이콘
45km/h에 올인입니다^^;;
별쳐의 속도가 궁금하다는 ㅠ.ㅠ
죄송~
총알이 모자라.
04/03/17 17:20
수정 아이콘
trmey님//65~75km/h입니다. 역시 자로잼...
오토바이 치고는 좀 느리죠..
GrandBleU
04/03/17 17:58
수정 아이콘
('' 아마 텍트 엔진일 겁니다. 싸잖아요
영혼의 귀천
04/03/17 19:38
수정 아이콘
맨처음 스타를 접했을 때 아직 유닛의 이름도 모르고 게임 방법도 몰라 혼자 이것저것 해 볼 무렵, 저와 제 동생은 울트라리스크를 '칼씩씩'이라고 불렀답니다.(왠지 공격하는 모습이 그렇게 보였던...)
운차이^^
04/03/17 20:54
수정 아이콘
방어력 400.. ㅠ_ㅠ;;
BoxeR'fan'
04/03/17 20:59
수정 아이콘
하하.......정말 재밌게 봤습니다....
약간 주무기에 대해서도 언급을 해주셨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긴 하지만요....정말 자로 재는 열의와 색다른 분석에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그리고 울트라 리스크...다크 섬이 없으면 상당히 무용지물..게다가 업그레이도 안 하면 도리어 마린에게 도망다니는 신세가...
Siriuslee
04/03/17 22:47
수정 아이콘
예전에 삼국지 게시판에 '기병의 활용'에 대해서 약간 쓴적이 있는데.
대충 이렇습니다.
기병은 사람의 키와 비슷한 말에 올라서 긴 창 혹은 도검류를 사용해서 위에서 아래로 찍어 내리거나 지르는 공격을 하는데, 당하는 보병의 입장에선 엄청난 공포입니다. 거기에다 보병이 기병을 공격하려면 아래서 위로 기병을 공격하거나 말을 공격해서 기병을 떨어트리는 방법을 써야하는 번거로움도 있습니다. 물론 이런 높이의 전투는 엄청난 전투력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기병이 단지 이런 높이의 전투로서만 활용된다면 나중에 보병과 난전이 벌어졌을때 약한 모습을 보일수도 있습니다.
(예로 워크3에서 휴먼의 나이트는 단지 풋맨보다 강한 공격 강한 체력 빠른 속도를 가지지만 인구수를 많이 차지하는 유닛이죠..물론 강합니다만)
기병을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은 단지 높이의 전투뿐이 아니라 돌격혹은 돌파를 하는 방법입니다.
(반지의제왕3편 '왕의귀환'에서 로한의 라이더들이 오크진형에 돌격하는 모습이라 말하면 쉽게 이해할수 있으실겁니다. 오크 진형이 라이더들의 돌격에 그냥 쓸리는데.. 그 수 많은 오크들을 다 베고 지나가는게 아니라 그냥 치고-_- 달려나가지요)
실제로 기병의 돌격에 당한쪽의 피해에서 기병의 창혹은 도검공격에 죽은 병사보다는 말의 치이거나 아군에게 밀쳐져서 밣혀죽는 경우가 더 많이 있습니다. 또 그러한 돌격이후에 대열이 무너진 진형에 적 보병이 몰려든다면 난감하겠지요..

갑자기 기병이야기로 말이 샜지만.. 게임상에는 아직 저러한 돌격의 개념을 도입시키지 못하였죠. 저그의 울트라는 단지 맵집이 좋은 근접 유닛일 뿐입니다.
엄재경위원이 자주 언급하시듯, 울링체제가 무서운점은 지상최대의 방어력+맵집을 가진 울트라와 체력은 매우 떨어지나 지상최대의 공격력을 가진 아드레업 저글링의 조합이기 때문이지요 ^^; (물론 울트라도 부대단위를 넘어가면 공격력또한 무시 못합니다.. 만 너무 덩치가 커서 길 해매는게 단점;;)
Siriuslee
04/03/17 23:11
수정 아이콘
참.. 워크래프트3 개발단계에서 나이트의 돌격기술이 고려되었었다는 글을 본적이 있습니다.(그런트의 버서크 기능도;;) 물론 취소가 되었지만..
참 아쉽군요;
개인적으로 가장 마음에 드는 게임상의 기병은, 국산게임인 KOF 에서 Charge~를 외치는 홀리나이트(?)입니다. 효과음 짱입니다. 거기다 화면효과까지 엄청나죠. 단지 속도만 빨라지는게 아쉽긴 하지만;;
워크래프트2의 향수에 빠져있을때 아주 재미있게 즐기던 게임이었는데;
후속작재발소문은 소문만 나다가 이젠 감감무소식;;
강은희
04/03/18 16:07
수정 아이콘
저도 삼국지 매니아여서 기병,보병등등 이런것에 쫌(;)아는 정도거든요. 여자들은 대부분 삼국지를 안읽거나 전쟁에 관심이 없기때문에 저같은 경우는 아주 희귀한(??)케이스인거죠;;. 제 칭구랑(여자) 반지의 제왕보다가 기병과 보병에 대해 설명해줬죠. 보병입장에서 보면 기병은 상당한 공포다.기병의 공격위치가 상당히 유리하기 때문에 보병은 보통 말의 다리를 찍어서 말탄 사람을 넘어뜨리는 방법으로 싸운다..등등(영화보면서 이딴 설명을 했다는..;;) 삼국지에선 철기병이 짱이죠-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27 밥굶고 테잎사던 제가 드디어 Mp3를 장만했습니다ㅠㅠ [61] 크게될놈3512 04/03/17 3512 0
2926 스토브리그가 스타팬인저에겐 지루합니다 ^^ [19] 향자3135 04/03/17 3135 0
2925 공상비과학대전 - 울트라리스크!! 편견을 버려!! [15] 총알이 모자라.3330 04/03/17 3330 0
2924 [잡담]어느새 다가온 봄의 이야기. [10] Zard3416 04/03/17 3416 0
2922 [잡담] 그대, 나를 설레게하는 그대, BoxeR [20] 하와이강3676 04/03/17 3676 0
2921 오늘도, 내일도..영화를 보다... [6] 페르소나3463 04/03/17 3463 0
2919 제가 기대하는 명경기 15 [41] 예진사랑5340 04/03/16 5340 0
2918 [잡담]봄이 왔으므로... [26] 언뜻 유재석3903 04/03/16 3903 0
2917 [잡담]....결국 종교가 친구사이를 갈라 놓는군요. [210] 허접태란6911 04/03/16 6911 0
2916 [사랑이야기] 난 말야..니가 부러워.. [19] 기억의 습작...2856 04/03/16 2856 0
2915 꿈, 환상 그리고 잡담 [9] lovehis3656 04/03/16 3656 0
2914 엠겜 이벤트전에 대한 실망. [33] homy6115 04/03/16 6115 0
2913 연출될 수 없는 웃음, 잊을 수 없는 꿈. [12] Run.3030 04/03/16 3030 0
2912 고정관념이 깨어지면 세상이 변한다. [15] 둘가기2807 04/03/16 2807 0
2911 김철민 캐스터의 퇴원을 축하드립니다. [53] 공룡5331 04/03/16 5331 0
2910 브레이브 하트의 기억들.. [14] Dark..★3769 04/03/16 3769 0
2909 고3생활.. Confidence.. Optimistic [22] Zard가젤좋아3037 04/03/16 3037 0
2907 다양함이 좋을까...한분야의 전문가가 좋을까.. [29] Ace of Base4157 04/03/15 4157 0
2905 나의 영화들 2 [11] Ace of Base3132 04/03/15 3132 0
2904 스타의 밸런스는 진짜로 T > Z > P > T ??? [26] 저그맨3759 04/03/15 3759 0
2903 [펌]어느 물리학자가 보는 이공계 위기의 본질 [13] 고스트스테이3213 04/03/15 3213 0
2902 정말 부끄럽습니다 ,,,,, [9] 아트보이3331 04/03/15 3331 0
2901 공상비과학대전 - 디파일러, 드러운 넘 [10] 총알이 모자라.3419 04/03/15 341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