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3/14 18:34:02
Name 막군
Subject 4인 4색, 감독 열전 - 외전, 감독 예찬

※감독열전 조규남 감독님 편 보기

※감독열전 송호창 감독님 편 보기

※감독열전 이재균 감독님 편 보기

※감독열전 주   훈 감독님 편 보기

 

 

4인 4색, 감독열전 그 뒷 이야기

 

감독이란?

아주 간단한 질문으로 시작하겠습니다.

 

감독은 무엇입니까?

우리가 흔히 말하는 '감독'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감독(監督)[명사]

1.[하다형 타동사]보살피고 지도·단속함, 또는 그렇게 하는 사람.

2.[하다형 타동사]법률에서, 어떤 사람이나 기관이 다른 사람이나 기관을 감시하고 지휘·명령하거나 제재를 가하는 일.

[...중략]

5.운동 경기에서, 선수의 훈련과 실전(實戰)을 직접 지도·단속하는 사람.

 

여기서 우리가 말하는 '게임계의 감독'은 5번에 가장 어울릴 듯 합니다. 선수의 훈련과 실전을 직접 지도·단속하는 사람이 게임계의 감독님이죠.

그럼, 그 감독님들이 훈련과 실전을 지도할만큼의 경험이 있었나요? 예전에 선수생활을 거쳐 최고의 자리에 오른 경험이 있었을까요? 정답은 아닙니다. 김가을 감독님을 제외한 그 어느 감독님도 게이머를 지낸 뒤 지도자 생활에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단지 지도자로서 게임계를 처음 내닫았을뿐, 즉 실제로 스타크래프트를 하는 능력은 선수들보다 떨어진다고 볼 수 있죠. 그렇다고 게임적 센스가 있느냐? 물론 몇몇분들은 게임적인 센스가 상당히 뛰어날 것입니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그렇게 뛰어나진 않습니다. 이것만 놓고 본다면 게임계에 감독이라는 존재는 '그냥 스케쥴 잡아주고 엔트리 짜는 사람' 으로 볼 수도 있겠죠.

하지만, 제가 말하고자 하는건 그것이 아닙니다.

 

감독예찬, 게임 사회의 인도자로

현재 프로게이머들의 연령은 대략 어느정도일까요? 우리가 흔히 '노련미 있다' '베테랑 1세대 게이머다' 라고 부르는 올드게이머들도 많아봤자 25살입니다. 심지어는 16살인 선수도 있죠. 이렇게 프로게이머의 연령층은 10대 중후반 ~ 20대 초중반입니다. 다른 사회에서는 아직 모든 것을 배우지 않은 학생이거나, 이제 막 날개를 펼치려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프로게이머의 세계에서 이들은 이미 한명의 선수가 되어 자기 스스로 이 험난한 사회에서 적응해야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이렇게 사회에 적응을 하려 해도, 그들에겐 아직까지 어린 존재입니다. 그런 그들에겐 기댈수 있는 어떤 존재가 필요하죠. 그게 지금의 감독님입니다.

네명의 감독님을 통해 느낀 것은, 감독님들은 단순히 '게임에서 우승하게' 이끌어주는 전도사가 아닙니다. 더 나아가, 일반사회에 나가서 이들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도와주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도와주죠. 쉽게 말하자면 선수들의 오늘 뿐만 아니라 내일도 생각하게 해줍니다.

부모님과 떨어진 합숙. 여기서 감독님들은 그들의 부모님이 됩니다. 그리고는 작게는 게임 스타일부터, 크게는 인생관까지 하나하나 잡아주죠. 그들이 없다면 선수들의 미래는, 그리고 이 게임계의 미래는 더욱 더 암울해질지도 모릅니다.

 

CM 이야기, 성공적인 감독 이야기

챔피언쉽 매니저라는 게임이 있습니다. 흔히들 CM이라고 불리우는 이 게임은 자신이 직접 축구클럽의 감독이 되어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야 하는 임무를 맞게 됩니다. 축구에 광적인 유럽인들은 이 게임 하기를 굉장히 즐겨하는데, 얼마나 중독성이 강한지 CM 때문에 이혼 하는 사례도 발생한다고 하네요. 이러한 CM에서 진짜 성공적인 감독이 뭔지 알수 있습니다. 단순히 팀의 우승뿐만 아니라, 팀의 자금은 얼마인지, 얼마나 두터운 선수층을 가지고 있는지, 또 팀의 분위기는 어떠한지에 따라서 성공이냐 실패냐가 갈리게 됩니다.

 

축구에서의 감독과 스타크래프트 게임구단에서의 감독은 분명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우승뿐만 아니라, 팀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중요하다' 라는 공통분모가 있습니다.

많은 감독들은 자신만의 스타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4인 4색에서 탐구한 감독님들을 예로 들어보죠. 조규남감독님은 선수들과의 교감을 통해, 송호창감독님은 식사·술자리를 통해 대화로, 이재균 감독님은 성적보다는 선수 생명을 우선적으로, 그리고 주훈 감독님은 스포츠 심리학을 이용한 팀 훈련을 선호합니다. 각자의 스타일이 각자의 팀을 만들고, 각자의 팀이 각자의 선수를 만들게 되죠. 이러한 '감독의 스타일, 그리고 그 뒤에 나타나는 측면' 등을 관찰해보면서 선수의 게임을 지켜보는 것도 또 다른 관전포인트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가장 빛나는 그들에게 뜨거운 박수를!

다시 축구얘기로 넘어가겠습니다. 영국 최고의 명문 클럽,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알렉스 퍼거슨 경은 10년 이상 맨유와 함께 지내왔습니다. 그의 지도력과 유소년을 키우는 능력, 전술과 훈련 등은 항상 많은 사람들의 극찬을 받아오죠. 맨체스터의 꾸준한 좋은 성적으로, 그는 영국 왕실에서 '경'이라는 칭호를 받게 됩니다. 그라운드에서 뛰는 선수가 아닌 감독임에도 불구하고, 퍼거슨 경은 지금도 많은 사람들의 주목과 신뢰를 받아오고 있죠.

게임을 이끄는 건 선수입니다. 그 게임을 승리하는것도 선수이고, 패배하는것도 선수입니다. 하지만 그런 선수들 뒤에는 감독님들이 있습니다. 이기기 위해, 좋은 경기를 보여주기 위해, 그리고 '프로'라는 이름이 아깝지 않도록, 감독님들은 지금 이시간에도 선수들과 함께 뛰고 계십니다.

PGR을 비롯한 그 어느 스타크래프트 사이트를 가봐도 '감독예찬' 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XXX선수의 플레이가 멋졌다. OOO선수의 플레이가 오늘 아쉬웠다.' 라는 등의 말은 봐도 '오늘 이 시기에 이 선수를 내세운 XXX 감독의 용병술이 돋보였다' 라는 말은 찾아보기 힘들죠.

언젠가 한번 '아름다운 조연' 이라는 표현을 썼던 적이 있습니다. 게임을 이끄는건 주연들, 프로게이머들입니다. 하지만 그 뒤를 빛나주게 하는 분들은 감독님들입니다. 이 글을 통해 감독 님들께 뜨거운 박수를 드리고 싶으며, 많은 분들이 '게임계의 감독' 이라는 직위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졌으면 합니다.

 

이것으로 4인 4색, 감독열전의 모든 코너를 마치겠습니다. 인터뷰에 응해주신 투나 SG의 이준호님, 한빛 스타즈의 감독 이재균감독님께 감사드리며, 저에게 격려의 말씀 보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합니다. 다음 시리즈는 현재까진 계획된건 없으며, 당분간 PGR에서의 글쓰기는 잠시 쉴 예정입니다.(그래봤자 1~2주일 정도? ^^;) 즐거운 하루 되세요. (_ _)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테리아
04/03/14 18:36
수정 아이콘
수고하셨습니다 막군님!! 그동안 감독 열전 잘 봤습니다..
이동익
04/03/14 19:12
수정 아이콘
4인4색감독님의 개인적으로 떠오르는 이미지^^
주 훈감독~ 좌청룡~지장(데이터관리,타이밍계산,성적중심,치밀함)
송호창감독~우백호~용장(스파르타식 훈련,강한선수로의 육성)
조규남감독~남주작~맹장(최고멤버를 하나로 융화,마인드컨트롤)
이재균감독~북현무~덕장(선수들과의 친화력중시,형같은 따뜻함)
푸른별빛
04/03/14 19:22
수정 아이콘
CM같은 프로게임구단 운영 게임은 나오지 않을까요? ^^;; 내가 팀 감독이 되어서 스폰서도 구하고 팀리그, 개인리그까지의 경기도 계획하고...CM못지 않은 중독성을 가지게 될 것 같군요^^
막군님 그동안 감독 열전 잘 봤습니다^^ 잠시 휴식기간을 가지신 뒤 더 멋진 글을 들고 오시리라고 믿습니다
04/03/14 19:42
수정 아이콘
프로게임구단 운영 게임은 모바일 게임으로 나온다죠. 철민이가 주인공.
PC판으로 나오길 바랬는데... 아 그리고 CM이라는 게임 정말 중, 고등학생에게 비추입니다. 저 지금 빠졌다가 성적이...
FC Barcelona
04/03/14 19:46
수정 아이콘
CM 은 게임이 아니라 마약 !!
자일리틀
04/03/14 20:04
수정 아이콘
CM 상당히 재밌죠^^
요즘은 안하지만, 저도 예전에 미친사람처럼 했던기억이...
저 역시 우리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는 선수들을 키워주시고, 관리해주시는 감독님들께 감사를 표합니다.
선풍기저그
04/03/14 21:41
수정 아이콘
잘읽었어요^^
통합매니저격인 감독님들.. 혼자 많은 역활을 어떻게 하시는지 대단합니다.
그리고 방금전 공중파에서 김동준해설위원을 봤어요^^
이미 다 아실려나..-_- NII광고에 나오네요..
04/03/15 10:39
수정 아이콘
김은동 감독님 얘기도 써주세요.. 안그럼 저 데이트 신청 들어갑니다!!^^;
(이런식으로!! 남자를 꼬시나-_-)
저그가되어라~
04/03/15 11:12
수정 아이콘
감독님들 다 써주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00 우리나라 사람들만인지는 모르겠지만 참 친절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9] EzMura3147 04/03/15 3147 0
2899 가입 인사겸 여러 이야기입니다.. [11] 소리없이고동2994 04/03/15 2994 0
2898 제가 재미있게(감명깊게)본 만화 2편 슬램덩크 원피스 명장면 명대사들.. [56] KilleR4622 04/03/15 4622 0
2897 레슬매니아가 끝났네요.(경기 결과 입니다.) [26] relove3360 04/03/15 3360 0
2896 제가 겪은 어느 고수와의 게임. [14] Jordan3566 04/03/15 3566 0
2895 I'm spoiled [15] 킁킁3647 04/03/15 3647 0
2894 대학생활이라는거.. [27] The Drizzle3115 04/03/15 3115 0
2893 어느 출장 마술사 SinJi [20] lovehis4337 04/03/15 4337 0
2892 학생들에게 고함 [18] 김은종3046 04/03/15 3046 0
2891 김희선(?) 과!! 악수하다!! [10] wOoWoOL3759 04/03/15 3759 0
2890 Here we go~ Junwi_[sam] [13] 대리석소년3287 04/03/15 3287 0
2887 베틀넷 ID에 관련된 잡담 [42] 은사시나무3846 04/03/15 3846 0
2886 어느 고3의 의미없는 읊조림... [27] 삭제됨2982 04/03/15 2982 0
2885 [ 편지 ] 새로운 하루를 만들어 주시는 아버지께 .. [9] GGoMaTerran3224 04/03/15 3224 0
2884 마나부 VS 이마이 [17] 킁킁5484 04/03/14 5484 0
2883 사교육 만능주의에 빠진 사람들이여... [60] 꿈은살아있다3603 04/03/14 3603 0
2882 그래픽 디자이너의 길.. [21] Style.blue3986 04/03/14 3986 0
2880 [잡담]오늘도 습관처럼. [13] Marine의 아들3064 04/03/14 3064 0
2879 4인 4색, 감독 열전 - 외전, 감독 예찬 [9] 막군3721 04/03/14 3721 0
2878 춤추고 싶은 날 - 그 어릿광대를 위하여 [13] lovehis6558 04/03/14 6558 0
2877 이런게 고등학교구나... [85] 그대는눈물겹4348 04/03/14 4348 0
2874 [잡담] 팝송은 안 좋아합니다. 가요가 좋습니다. [39] 귀여운호랑이3144 04/03/14 3144 0
2873 [부고] 송채성 작가님이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21] 시아3043 04/03/14 304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