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3/11 20:38:33
Name 진공두뇌
Subject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안녕하세요, 코멘말고 글은 정말 오랜만에 쓰게 되네요.

밑에 올라온 Zard가젤좋아 님의 글을 보고, 몇 글자 올립니다.

저는 세 사람을 알고 있습니다.

이 세 사람으로 말할것 같으면, A모 웹사이트의 공동운영자로, 가면 갈수록 상술에 놀아나고 있는 온라인 게임을 반대하는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지요. (그리고 O모 잡지에도 나왔었습니다-_-)

각설,

그 중에 한사람인 R모씨와 e-sports 계에 대한 말을 조금 오래 주고 받은적이 있었습니다.

저는 'e-sports가 발전하려면 기존의 스타리그 위주의 방식 말고 다른 국산 게임을 발굴해내야 한다' 정도로 주장했는데. 그 친구의 생각은 조금 다르더군요.

그 친구가 말하길,

'현재의 RTS, 특히 블리자드 사의 게임에 치중한 게임리그 진행은 옳지 않다. RTS 전문 게이머, FPS 전문 게이머, SPORTS 전문 게이머를 육성해야 한다. 장르별 게이머를 육성하지 않고 게임을 '즐기며' 볼수 없는 현재의 게임리그는 문제가 많다.'

제 생각대로 말을 요약했기 때문에 정확하지는 않습니다만, 좌우지간 이런식으로 대화가 진행되었습니다.

물론 저도 저런 생각에 찬성합니다. Post 스타크래프트 이후의 가장 큰 카드가 워크래프트3 라니, 여기는 한국인데, 너무 외국게임만, 그리고 너무 RTS위주로만 성장하는 프로게임계는 뭔가 잘못이 있다고 생각했죠. 그런데,갑자기 R모군이 이런 말을 꺼내더군요.

'프로게임계는 이름만 게임계지 정작 게임만드는 사람들과는 전혀 상관없다. 프로게임계를 통해 PC게임계나 콘솔게임계에 새바람을 불어일으킬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과연 프로게임계를 통해 한국의 게임계가 살아날수 있을까요?

여러분의 의견은 저로 하여금 pgr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합니다.
리플 좀 남겨주세요 ㅠㅠ[마지막은 비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eGerneraionX
04/03/11 21:09
수정 아이콘
프로게임계를 통해 한국의 게임계가 살아날수 있을까요?
라는 질문에 저는 Never라고 답하겠습니다.
우리나라도 다른 나라들처럼 작년부터 콘솔게임이 PC게임시장을 압도했죠
대장균
04/03/11 21:10
수정 아이콘
게임만드는 사람들과는 전혀 상관없다는말.. 맞는말이지만 사실 한국의 게임계는 사실상 프로게임계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리고 여담이지만......................지금 MSL루키 특별전에서 최상용 캐스터가 갑자기 거부할수 없는 짜릿한 한판승부 센게임을 엄청 큰소리로 하는것을 보아 이승원해설 김동준 해설님과 무슨 얘기가 오고갔나 보네요 두해설이 웃는것을 보니
포카칩
04/03/11 21:10
수정 아이콘
앞으로도 불가능이 아닐까요 ,,
정말 한달동안은 .. 아무 생각 없이 자유도 높은 RPG 게임을
집에서 즐겨 보고 싶네요 ....
대장균
04/03/11 21:14
수정 아이콘
DeGerneraionX// 그런가요? 아직 세상을 잘 모르는 -_-
Return Of The N.ex.T
04/03/11 21:50
수정 아이콘
전 꽉 짜인 정해진 스토리의 깔끔한 2D그래픽으로 발매된 RPG게임을 즐겨 보고 싶습니다.
하긴.. 제대로 된 RPG를 즐기는 것이 이제는 힘든가요..
지금와서 즐기기엔 창세기전2는 너무 오래됐어요..ㅠㅠ
누가 추천좀 해주세요~
mooth2000
04/03/11 21:50
수정 아이콘
국산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스타만큼은 안되더라도 적어도 워크만큼은 팔려야 될텐데 그나마 워크도 고전하고 있지 않습니까. 차리리 스타에 집중해서 공중파탈만큼의 힘을 몰아주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스타가 너무 오래가서 문제인 것 같지만 일반인들의 인식을 전환시켜주는데에는 오래됐다는게 오히려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장르별 프로게이머보다는 종목별 프로게이머가 나을 것 같네요. 같은 FPS라도 퀘이크랑 카스만 보더라도 너무 다릅니다-_-;

국내 개발사가 베타테스트도 충분히 할 수 있을만큼 재정적으로 안정적이 되거나 대작은 30만장은 너끈히 팔아줄 수 있는 시장이 성립돼기 전에는 게임계와 프로게임계는 따로 놀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잘 나가는 온라인 캐주얼게임들은 모르겠네요-_-; 크레이지아케이드 프로게이머...뭐 이런거;;;)

p.s. 중계할만한 프로게임으로는 아무래도 RTS,스포츠 게임정도가 제일 나은 것 같네요. FPS도 중계하는 걸 보면 좀 애매하더군요.
공고리
04/03/11 21:51
수정 아이콘
대장균// 거부할수 앞에 절대인가 무슨 단어를 하나 더 해서 말해서 웃는 것 같네요. 제 기억으론 절대 거부할 수 없는 짜릿한 한판승부 이럴꺼에요.
Return Of The N.ex.T
04/03/11 21:54
수정 아이콘
참, 프로게임계를 통해 한국의 게임이 발달 하려면.. 확실히 장르의 다양화가 필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궁극의 팀 리그는 이런 것입니다.
1경기-스타크래프트
2경기-카운터스트라이크
3경기-피파
4경기-철권
5경기-스타크래프트
이런 식이죠. 물론 꼭 저런 게임이 아닌.. 각 장르를 대표하는 게임을 써 본겁니다..^^;; 오해하지 마시길..
적어도 팀 리그라면 저런식으로 되어야지 않을까요?
와~ 이게임단은 전 종목에 걸쳐 다양한 선수가 있어서 좋겠다~~
혹은
이 게임단은 FPS부분만 보완하면 단숨에 선두로 치고 올라 갈텐데..
같은..-_-;;
너무 무린가요?
FlyHigh~!!!
04/03/11 22:01
수정 아이콘
대전액션도 상당히 괜찮죠 ^^;
철권 태그토너먼트 같은 경우는 상당히 괜찮다고 생각 됩니다 :)
(풍신류가 너무 세긴 하지만 -_-; )

게임의 스피드감도 있고 적정한 시간에 5판3선승제하면 꽤 괜찮게 될거 같다는 생각이구요 그리고 철권의 인지도는 스타에 비해 절대 뒤지지 않는다고 보는데요 ^^
mooth2000
04/03/11 22:08
수정 아이콘
어쩌면 종목을 뭐로 하느냐 만큼 중요한게 그에 맞는 해설과 캐스터를 갖추는 것도 중요하겠네요. 이벤트성 격투게임중계하는거 보면 (ex: 엠겜 엑박 doa3 -_-;) 듣다 보면 난감합니다-_-; 예전에 킹오브는 콤보수 세고있었다는 소리도 들었던 것 같은데 =_=;;
04/03/11 22:16
수정 아이콘
사실 개인적인 생각은 스타크래프트 부터 먼저 성장할수 있을만큼 성장해야 한다고 봅니다. 장르별로 선수들을 골고루 분배하는건 좋지만 현재의 게임시장에서는 무리수가 많고 스타크래프트가 아닌 여러 게임을 한꺼번에 접하기는 폐인 혹은 그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이 아닌 이상 힘들다고 봅니다.

일단 스타크래프트가 확실하게 안정권에 들어간 뒤 여러 장르의 게임을 시도해보는것도 늦지 않다고 봅니다.

p.s 한국이라고 꼭 한국게임이 E-Sports의 주류가 되야한다는 오산이라고 봅니다. 야구는 미국(혹은 영국)에서 유래돼었는데 한국의 국민스포츠이듯이, 스타크 같은 외국게임이 주류를 차지해도 상관은 없다고 봅니다. 다만 그것을 한국스럽게 받아드리느냐 마느냐가 해결해줄수 있을것 같네요.
Return Of The N.ex.T
04/03/11 22:16
수정 아이콘
전용준 캐스터의 콤보수 세기는 상당한 반향을 일으키지 않았나요?
전 굉장히 재밌게 봤었는데.. 지금은 VOD가 어디 있는지 몰라서 못보고 있다는..-_-
04/03/11 22:20
수정 아이콘
뭐 콤보수 세는건 그냥 7킬! 8킬! 뭐 이렇게 봐도 무방할듯...

사실 그렇게 콤보수 세는것 보다 '아 이 기술은 XXOO이라는 기술인데요 이거 맞으면 데미지가 나가고... 샬라샬라' 하는게 더 이상하고 복잡할듯... -_-;;
안전제일
04/03/11 22:25
수정 아이콘
더이상 e-sports를 '게임'이라는 틀 안에 묶어놓는다는것 자체가 무리라고 생각합니다.
장르별 게이머...좋습니다. 멋지지요.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현재의 프로게이머들에게 한가지의 게임이 아니라 하나의 장르를 던져준다면, 우리가 현재 즐기는 스타..넘어서 rts라는 장르로 보았을때 그들이 '프로' 게이머 라는 이름을 달수 있는 차별성을 갖는것은 그리 쉬워보이지 않습니다.
거의 본능적으로 알고있는 듯한 각유닛의 특징..그에 특화된 컨트롤과 전략, 수십 수백판을 진행한뒤에야 알수있는 맵의 특징들...현재 우리가 환호하는 그런 경의로운 모습을 볼수 없을것같다라는 말씀입니다.
스타게이머는 스타크 게이머로 워3게이머는 워3게이머로. 카스와 피파 게이머는 카스와 피파게이머로써 존재할수 있는것..
그 종목들이 특정한 나라 특정한 기업의 상품'이었던' 게임을 넘어서 하나의 스포츠로 말입니다.
발로차는 구기종목 잘한다고 족구잘하는 사람이 축구 잘하라는 법없고--;;(으음..뭔가 예가 잘못되었다는 느낌은 듭니다만.으하하하) 핸드볼 잘하는 사람이 배구 잘하는 법없잖습니까.

수많은 게임이 나오고 유저의 선택과 반응에 의해서 그것이 하나의 새로운 e-sports의 종목이 되는것..그게 가장 자연스럽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현재의 프로게임계는 그 홍보의 장이 될수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완성도 높은 게임을 기본으로한 조금은 세련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국내 게임계에 기대하는 것은 너무 큰 바람일까요?
04/03/11 22:33
수정 아이콘
철권은 게임해설하기가 너무 벅차죠 게임자체 흘러가는 스피드가 빠르다 보니. 해설 놓치지 않을려면 숨 못 쉴듯하네요.
TheZtp_Might
04/03/11 23:12
수정 아이콘
격투게임 류의 게임 특히 철권같이 한세트가 빠르게 끝나는 게임은 중계의 의미자체가 좀 애매해지는 탓도 있고 유저층은 두텁지만 대회를 열면 뭔가 허전한 구석을 감출수가 없죠...(알려진 고수라 해도 사람들 이목을 집중받기는 커녕 관심도 거의 못받고 방송출현시 -_-;)
Zard가젤좋아
04/03/12 00:10
수정 아이콘
전 개인적으로 포스트 스타크래프트로 '킹덤언더파이어'를 예상을 했었는데.. 해설도 참 재밌고 게임하는거도 재밌더라구요.
게임방식도 간단하고 영웅시스템 도입도 좋았고.. 그런데 방송에서 갑자기 사라지더라구요.. 아쉽습니다..
04/03/12 10:04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패키지 게임 시장은 살아나기 힘든게 현실입니다.(죽었다고는 단정짓고도, 생각하고 싶지도 않습니다) 저도 그 쪽 관련이 있는지라 자주 형들과 함께 밤새 이야기를 나누곤 합니다(..그러곤 다음날 막대한 지장을 받고는 하죠ㅠㅠ) 어디부터 잘못되었는 가는 배제하고서라도, 수익을 낼 수 없는 시장때문에 게임 업체들은 mmorpg에 투자를 하게 되고, 그에 따라 패키지는 사장되어 가는 게 현실이죠.

현재 스타/워3로 진행되는 프로게임이 게임프로그램쪽으로 영향 줄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ps -
패키지를 살릴 방안은 와레즈 들로 부터 보호를 해야하는데, 보완과 크래킹의 싸움이 되고, 보완이 가능은 하지만 돈이 많이 든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죠. (그래서 항상 바라는 것이 리x지의 [ ] yellow(..) 사나, 또하나의 n모사가 좀 투자를 해주면 좋을텐데..이지만, mmorpg로 짭짭할 수입을 얻는 그들이 도전을 할 꺼라는 생각이 안들죠^^;)

한숨만 나오는 현실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42 그녀(女)를 기다리며... - 냉정과 열정의 차이 <수정 판> [7] lovehis4691 04/03/12 4691 0
2841 가장 가슴이 아픈 건... [14] 섹쉬한 뇌2848 04/03/12 2848 0
2839 예전 "서인"님의 글이 떠오르는 오늘... immortal2925 04/03/12 2925 0
2837 쓰기기능 생긴후 첫글 3대테란 조진락 3대플토..(?)의 대전전적 [19] 오청환3763 04/03/12 3763 0
2835 [알림] 정치 이야기는 금지 합니다. [41] homy6397 04/03/12 6397 0
2834 [RoSie의 중얼거림] 맵핵에 대한 인식전환. [28] 케샤르3407 04/03/12 3407 0
2833 [잡담] 초록색을 준비하는 우리네 농촌... [7] 낭만드랍쉽3462 04/03/12 3462 0
2831 베틀넷에서..맵핵사용유저가얼마나되는지 지켜보았습니다. [101] 아름5877 04/03/12 5877 0
2827 여기는 매트릭스, 나라는 국민의 것이 아니라 국회의원의 것이었다. [77] 단수가아니다.4069 04/03/12 4069 0
2825 초필살기의 사용시기. [17] atsuki2937 04/03/12 2937 0
2822 노무현 언론, 그리고 국민. [179] 석현6148 04/03/12 6148 0
2818 저그를 빛낸 저그의 프로들..2편 .. [9] Art.P[M2M]2879 04/03/12 2879 0
2817 [도움글][2-3회] 영어가 GG칠때까지! [20] 하와이강4846 04/03/12 4846 0
2815 [축구이야기] 아..눈물과 환희가 교차되는구나..ㅜㅜ..^^; [21] 기억의 습작...3142 04/03/12 3142 0
2813 김철민 캐스터 화이팅! [7] 흐음3875 04/03/12 3875 0
2812 온게임넷 스타리그 결승전의 묘한 관행? 징크스? [12] Hound.jy4572 04/03/12 4572 0
2811 한 맺힌 역사...또 다시 반복되는가 [44] 체스터4458 04/03/11 4458 0
2810 제가 발견한 스타리그 징크스 [3] 프로토스광팬2903 04/03/11 2903 0
2809 저그를 빛낸 저그의 프로들.. [7] Art.P[M2M]4252 04/03/11 4252 0
2808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18] 진공두뇌3105 04/03/11 3105 0
2807 [자랑질] 스트라이다를 아시나요? [18] 세인트리버3250 04/03/11 3250 0
2806 [소설] 삶은 달걀, 그리고 블랙홀 [6] Bar Sur3552 04/03/11 3552 0
2805 오랜만에 들어왔더니 참 뜻밖의 소식을 듣게 되는 군요. [6] 랜덤테란4933 04/03/11 493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