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3/10 13:22:40
Name lovehis
Subject 중/고등 학생을 위한 공부 잘하는 방법.
  그냥 아래 workbee 님과 하와이강님의 글을 보고… 예전에 제가 쓴 글이 생각 나서
이렇게…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이 글에는 "중/고등 학생을 위한 공부 잘하는 방법"은  죄송하지만 없습니다. 자극적인
제목에 끌려 이글에 오시게된 여러분 에게는 죄송 합니다만 back을 눌러 주세요. 하지만,
글에는 "공부 잘하는 방법"은 없지만 "공부를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은 있으니 그 정도도
괜찮아하시는 분은 계속 읽어 주세요.

  개인 적인 생각으로 "공부를 잘 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있기는 있습니다.)
단지, "공부를 많이 한 사람", 혹은 "공부를 효율적으로 한 사람"은 있습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학생은 지능 지수나 환경이 그리 공부하는데 많은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단지, 많은 도움은 안 된다 정도겠죠. 반대로 생각
하면 최소한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라는 말 입니다. 진짜 어려운 사람도 있기는
하지만..집에서 PGR을 접속할 정도가 되시면 그 정도는 아닐 것 이라 생각 합니다.
따라서 환경 탓, 머리 탓은 일반적으로 거의 쓸모 없는 핑계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너무 단정 했나... 진짜 어려우신 분들 에게는 죄송합니다.)

  "공부는 자기가 하는 것" 입니다.

  아무튼 공부하는 법. (잘하는 법->효율적으로 하는 법-> 그냥 하는 법... 많이 약해
졌군요... 약한모습.... 호호호)

1. 집중하는 법을 연습한다.

  집중력은 근육과 같습니다. "난 집중력이 없어, 난 주위가 산만해" 라고 하는 말은
"난 운동을 안 해서 근육이 없어" 라는 말과는 비슷한 것입니다.

  집중력은 타고 나는 것이 아니고, 따라서 연습에 따라 성취 될 수 있는 것 입니다.
집중력을 연습하기 전에 책상에 앉아 있는 법부터 연습 해야 합니다.

  1) 일단 책상 위에 아무것도 올려 놓으시지 말고 말끔히 치운 후,
  2) 책 한 권을 가지고 천천히 읽어 본다. (만화책도 좋고, 소설도 좋고, 백과 사전,
     영화 잡지... 뭐든... 하지만 평소에 덜 관심을 가지던 것이 좋습니다.)
  3) 30분 에서부터 약 2시간 정도 지긋히, 조용히 읽어 본다.

  이렇게 연습 하시면 됨니다. 최소한 책상에 3시간 정도 앉아 있을 정도가 되야
중/고등 학교 공부를 어느 정도 잘 할 수 있는 기본이 되어 있는 것 입니다.

  후에 2시간 정도는 앉아있을 수 있다면... 그 후에 책이 아니라 공부를 시작 하세요.
약 3시간 중에 1시간 30분 정도를 아무 생각 없이 공부 할 수 있다면, 당신은 공부를
잘하게 될 수 있습니다. (1시간 30분의 기준은... 보통 시험이 1시간 정도죠... 그 정도
보다 조금 더 집중할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2. 공부를 마친 후 정리 하는 습관을 가진다.

  공부를 하긴 많이 하는데 효율이 안 나시는 분이 있죠. 그 분들의 공통적인 것은 바로
정리가 안 된다는 것 입니다. 달리 말하면 자기가 뭘 공부 했는지 모른다는 것 입니다.
일단 어느 정도 공부를 하신 후 꼭 정리를 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정리를 할 때는...

  1) 한 과(쳅터) 에서 다른 과로 넘길 때.
  2) 한 과목 에서 다른 과목으로 넘어갈 때.
  3) 일정 시간 지난 후 (집중력이 약간 떨어졌을 때...)
  4) 하루 공부가 끝나는 시간(자기 바로 전)
  5) 하루 공부를 시작할 때... (어제 정리 한 것을 한번 본다.)
  6) 짜투리 시간에...
  
  이럴 때 정리를 합니다. 그리고 정리하는 방법은...

  1) 하얀 백지에다 자신이 공부한 대략적인 내용을 적어본다.
  2) 세세한 것은 그냥 넘기고 커다란 그림을 그린다는 기분으로 한다.
  3) 주로 공식보다는 개념 위주로 정리한다.
  (이 방법이 숙달 되면 그냥 머리속에서 해도 됨니다. 그렇게 되게 만들면 성공!)

  이렇게 정리해 줌니다. 이렇게 정리하는 버릇이 들면 같은 것을 수없이 불수 있게
됨니다. 자주 보면 당연히 익숙 하게 되고, 익숙해 지면 쉬워 지는 것이지요.
음… 이런 말씀을 드리고 싶군요. "1 + 1 = 2" 가 왜 쉬울 까요? 과연 쉬운 것 일까요?
증명 할 수 있습니까? 아마 웬만한 실력으로는 어려울 것 같은데… 그럼 그것이
쉬운 이유는? 그건 바로 익숙하기 때문 임니다. 또한, 한국말이 왜 우리에게 영어보다
쉬울까요? 왜 일본말이 영어보다 쉽다고 말 해지는 것일 까요? 익숙하기 때문임니다.
왜 많이 공부한 과목이 쉬울까요? 그건 익숙 하기 때문 임니다. 다시 말하면...

"익숙한 것이 쉬운 것 입니다."

3. 수업시간에는 집중한다.

  이거 너무 많은 사람들이 말해서... 좀 식상한 듯 하지만, 그만한 이유가 있는법.
이것이 제가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것 입니다. 수업시간에 이해하지 못하면 어쩌면
영원히 이해 할 수 없는 것 입니다. "이 시간이 내 공부하는 마지막 시간 이다" 라는
마음으로 집중 하세요. 필기는 글씨를 빨리 쓰지 못하면 좀 대충 하더라도 선생님의
말씀에 무지 무지 경청 해야 합니다. 만일 수업시간 내에 이해 하지 못하면 반드시
그날이 가기 전에 이해 하여야 합니다.그날을 놓치면 영원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아마 2배 3배의 시간을 투자 해야 합니다. 같은 일을 힘들게 할 필요는 없겠지요.

4. "단순 암기"를 최소한으로 줄인다.

  단순암기가 그냥 아무 이유 없는 단순 암기 일 때는 많이 없습니다. 단순 암기라
생각 하는 것도 이유가 있어서 발생한 것일 경우가 있습니다. 원론적으로 고찰하다
보면 인과 관계가 성립되는 경우가 대부분 이죠.

"왜?" 가 중요 합니다.

예를 들어 국사의 경우...
"XX왕 때 YY법이 생겼다."  
"XX왕 때 ZZ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라는 두개의 사실 보다는...

"XX왕 때 ZZ에 영향을 받아 YY라는 법이 생길 수 밖에는 없었다" 로 이해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체적인 상황을 크게 보며 논리적으로 설명 하는 것이 좋습니다.
원인 없는 결과는 없습니다. 사람은 나름대로 논리적 이기 때문에 사람이 한 일은
거의 논리 적 입니다. 따라서 그 사람의 논리를 이해하고 상황을 이해하면 결과는
유추할 수 있겠지요.

  이 방법은 처음에는 공부하기 좀 힘들수도 있습니다. 진도도 많이 더디고...하지만,
이런 식으로 공부하다 보면 나중에 자신이 공부하지 않았던 것들도 그냥 알게 될
경우가 있습니다. 나중에는 정말 감당 못할 정도의 엄청난 속도가 나죠. (특히, 컴퓨터
쪽...) 이런 예는 역사, 사회, 도덕, 과학, 수학 등등에 아주 적용하기 좋습니다.
(역사나 사회, 도덕이 과학 이나 수학 보다 논리적이지 못하다고요? 그건 잘못된 생각
같네요... 최소한 그 만큼은 논리적 입니다.)

  단순암기에만 강하면, 좋은 공부를 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공부를 계속 할 수 없습
니다.

5. 매일 한다.

  벼락치기 공부 정말 남는 것이 없는 공부 입니다. 차라리 벼락치기 할 시간을 나누어
평상시에 하세요. 조금이라고 매일 매일 하는 것이 모든 면에 좋습니다. 또한, 항상
머리 속에 약간의 공부내용을 남겨 두셔야 합니다. 버스에서, 짜투리 시간에 혹은
혼자 있을 때 머리 속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 하셔야 합니다. 그때는 아까 정리에서
말씀 드린 "큰 그림을 그린다"를 머리 속으로 그려 보세요. 시험 때 아주 도움이 됨니다.
(특히 시험바로전에 해보세요... 대단한 효율...)

6. 목표를 항상 높게 설정한다.

  목표는 항상 자신의 생각보다 높게 생각 해야 합니다.
기말 고사를 목표로 공부 한다 보다는, 학기 성적을 목표로 공부 하는 것이 좋고,
학기 성적을 목표로 하는 것 보다는 학년 성적을 목표로 하는 것이 좋고,
학년 성적을 목표로 하는 것 보다는, 대학을 목표로 공부 하는 것이 좋고,
대학을 목표로 공부 하는 것 보다는... 미래의 꿈을 목표로 공부 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래의 꿈을 위해 공부하다가 잘 못 되도... 기말 고사 정도는 가뿐하게 통과 할 수
있습니다. 좀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어야 합니다.


음... 이 정도 입니다. 그리고 제 비밀이 남아 있는데... 그건....

  "공부를 일 이라 생각하지 말고... 그냥 심심하면 하는 것"  이라는 생각이 들면 님은
공부에 대해 더 이상의 무엇도 느끼시지 않을 것 임니다. 제가 고등학교 졸업하고 나서야
알게 되었죠....

  다시 한번  말씀 드리지만,  "공부를 잘 하는 사람"은 분명히 "공부를 많이 하는 사람"
이거나 "공부를 효율적으로 하는 사람"입니다. 그 이상도, 그 이 이하도 아니고…

시간은 절대로 배신 하지 않습니다. 시간은 투자한 만큼 항상 돌려 주는 것 입니다.

모두, 모두 좋은 하루...

-----------------------------------------------------------------------------------------------------------------

  도움이 되셨다면... 나중에 시험 잘보는 방법도 알려드리죠...  갑자기 PGR이 학습
사이트가 된 기분...

PS. 뭔가 재미있는 일 있으신분 알려주세요.... 몇 일 심심해서 죽을 것 같네요...공부 말고....^^;;;

PS2. "넌 얼마나 공부를 잘하기에 이런 말을 해?" 라고 말씀 하시는 분... 원래 코치는 잘
       못해요.... 해설 하시는 분이 선수 보다 더 잘하는 사람 있나요.. 호호호..삐질 삐질
       아참... 이거 스타에도 조금 써먹을 수 있는 방법인데... 제가 하루에 몇게임 안하고,
       APM이 엄청 낮아도,  아시아 공방 이나/op 1vs1- 체널에서 한 동안은 50% 정도의
       승률을 만들수 있었던 이유가 이런 방법에 있죠... (요즘은 몇일에 한번 하는 정도
       라서 거의 지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휘발유
04/03/10 13:37
수정 아이콘
그렇죠 암기할 때 전혀 관련 없는 것들도 억지로 껴맞춰 연관지으면 안까먹게 되죠 ^^ 단, 시험끝나면 전부다 까먹습니다 ;;
The Drizzle
04/03/10 13:40
수정 아이콘
3번과 5번, 6번은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이상하게 평소 공부도 열심히 안하는 것 같으면서도 성적이 잘 나오는 친구들을 보면 대부분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그 시간에 소화해 버리는 친구들이지요.

개인적으로 그 부류에 속하기 위해서 열심히 노력했지만, 평소에는 공부 안하면서 수업시간마저 집중못하는 설상가상의 상태가 되는 바람에.... 망했습니다.

한창 열심히 공부중일 중/고등 학생들에게 한가지 조언을 드리자면

자신의 능력에 대해서 최대한 과대평가를 하라는 것입니다. 자신의 잠재력을 인정하라는 말이죠.

'난 실천의식이 부족해서 결심을 하고도 오래가지 못해..' 라던지, '난 아무리 열심히 해도 안되는것 같아' 와 같은 열등의식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이 미리 정해놓은 한계를 넘기가 굉장히 힘듭니다.

아예 '난 엄청난 능력을 가지고 있고 공부를 조금만 하더라도 그 능력은 발휘되서 엄청나질수 있다. 지금 내가 이런 성적을 가지고 있는 것은 순전히 공부를 하지 않아서다!' 라고 생각해 버리시길 바랍니다.

물론... 자부심과 교만, 거만을 혼동해선 안되겠지요.

자신의 능력에 자부심을 가지게 된다면... 분명 자신이 생각했던 한계점이 더욱더 높은곳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될겁니다.
박경훈
04/03/10 14:04
수정 아이콘
잠만 안자면 됩니다. 그리고 수업시간을 충실히 하던지 아니면 학원에서 충실히 하시던지요. 고 1때부터 수업시간만 열심히 들었다면 상위 1%을 노리는게 아니라면 왠만한 대학 다 갈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고3때 반짝공부도 쓸만하긴 하지만 말입니다. -_-;
스팀팩질럿
04/03/10 14:24
수정 아이콘
좋은 학원을 다닌다. 상위 0.1% 안에 들려면 정말 타고나야 합니다만 상위 1%는 제대로 된 수업을 따라가기만 해도 충분히 달성할수 있습니다. 전 고등학교때 3년내내 10%안에도 못 들었는데 재수하면서 재수생 전문학원을 (서울도 아닙니다. 대구에 있는 학원이죠) 5개월정도 다녔는데 5개월 동안 배운 내용이 고교 3년보다 훨씬 더 알차고 분량도 많았답니다. 결과는 어땠을까요? 비록 내신때문에 S대는 갈수 없었지만 K대에 상위 0.3%안의 성적으로 인기학과에 입학해서 장학금 받고 다니고 있습니다. 벌써 6년전 애기네요. 학원을 오랫동안 다닐수 없다면 방학기간을 이용해서라도 다녀 제대로 된 공부방법이라도 익히시길...
솔져오브포츈
04/03/10 14:43
수정 아이콘
그건 스팀팩질럿 님의 보기드문 성공 케이스-_-.. 본의아니게 사교육의 절실한 필요성을 말하는 글로 보일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역시나 사람이 많으면 가방끈 긴 사람들도 많다는 점! ..느끼는군요,
구경만1년
04/03/10 14:46
수정 아이콘
나는 왜 공부빼고 잡기에 능할까~~ 당구 250 스타 중수 볼링 포켓볼 축구 등등등.. 공부는 정말 저하곤 적성이 안맞습니다. 제친구들 모두가 인정하는 저는 공부빼고 다 잘하는 "놈" 입니다. 그래서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전 남들보다 조금 빨리 실력이 느는 스타일인데 이유는 다른거 없습니다 좋아하는거 남들보다 조금더 오래 꾹 참고 인내심가지며 하는것입니다. 그런데 왜 공부는 못하느냐. 그건 제가 흥미가 없었기 때문이죠.. 위에 lovehis//님 께서 쓰신 방법에다가 + 흥미를 가질려고 노력해라..
이것도 꼭 추가되었으면 좋겠군요.. (그런데 어떻게 공부에 흥미??? 그걸 제가 알면 저도 공부 잘할텐데요 -.,ㅜ)
추가로 반듯이 ==> 반드시 로 바꾸어 주셨으면 ^^
04/03/10 15:06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때는 모르겠지만 중학교에서는 학원 안가고 학교에서만 엄청나게 들으면 분명 1% 가능합니다. 저희 학교 1등이 그렇고(단과학원 하나 다니는...), 저도 학원 하나 안다니고 반에서 1,2등 했으니까요. 중요한건 학교에서 얼마나 열심히 하느냐, 그리고 얼마나 '이해하느냐' 입니다. 그리고 잠은 충분히 자야 합니다. 잠 못자서 정작 학교시간에 잠오는 낭패가 없기 위해서 ㅁ라이죠 -_-;
04/03/10 15:08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요즘 이런 학습관련글이 많이 나오는 것 같네요. 새학기라서 그런가요? lovehis님 글은 잘 읽었습니다만, 이 글도 바로 밑에 있는 workbee님의 글에 코멘트로 다는게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04/03/10 15:13
수정 아이콘
이 세상에 모두가 1%일 수는 없습니다. 이것은 모순의 이치와 같습니다. 누군가는 2%여야 하고 누군가는 99%여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1%도 100%도 모두 잘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일입니다.
김명보
04/03/10 15:28
수정 아이콘
참고로 " 1+1 = 2 " 이다의 증명은 한 페이지가 넘는 대단히 난해(?)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04/03/10 16:14
수정 아이콘
1+1은 왜 2일까요? o.o
김진필
04/03/10 16:26
수정 아이콘
다 공감하는 내용이군요. 저도 저런방법으로 해서 꽤 잘나왔다는!
무엇보다 수업시간에 집중하고 복습하는게 정말로 중요하죠
토스리버
04/03/10 16:39
수정 아이콘
잘못됀 방법이고, 아주 단순하단것을 알지만 저는 그냥 무조건 "왜그럴까?" 라는 의문없이 일단 외우고 봤습니다. 왜인지, 왜그런지는 일단 외우고나서 생각했죠.
예전에 제 친구가 제게 "공부 잘하려면 어떻게하냐" 란 질문을 했던 기억이 나네요. 전 당연히 제 방식대로 "그냥 외워" 라고 했지만 친구는 역시 의문이 풀리지 않는모양입니다^^; 가령 제가 그친구에게 사회과공부를 같이 해주고있을때 "언제언제 신미양요가 일어났어" 라고 말하면 그친구는 늘 "왜?" 라고 답문하곤했습니다. "내가 알게뭐야, 그냥 일어났다그러니까 그렇게 외워야지." 이게 제 대답이지요.
말그대로 신미양요가 왜 1871년에 일어났는지 알게뭘까요 1870년이 아니고 1872년도 아니고 왜 1871년에 일어났는지. 그냥 71년에 일어났다고하니 그렇게 외우는것뿐이라고 말했죠.
원래 이해를 하면 저절로 외워지는거라고 많은분들과 선생님들께서도 말씀하시지고, 그것이 올바른 방법이지만 저는 일단 머릿속에 넣어놓고 봅니다. 그러고 난 후에 이해를 하건 "왜"라는 의문을 가지건 하지요.
"연관지어암기" 도 제가 자주 써먹는 방법입니다 잘 외워지더군요^^물론 시험이 끝나면 머릿속이 싹 하얘지며 도로아미타불이 돼어버리지만 코앞에 닥친 시험을 대비하기에 이만한것도 없다고봅니다.
저는 옛 나라들의 변천과정을 배울때 송나라 → 원나라 → 명나라 → 청나라 이렇게 돼있는것을 "송원이는 멍청하다" 로 외웠던 기억이 나네요.
그리고 원나라의 초대황제인 쿠빌라이는 또 어떻게 외웠느냐 하니까 "쿠빌라이는 원숭이다" 라고 머릿속에 깊숙히 박아두었던게 생각이나네요ㅡ_ㅡ;
04/03/10 16:44
수정 아이콘
공부잘하는 법중에 가장 중요한것은 무엇보다도 목표가 뚜렷해야 될꺼 같습니다. 제 경험상 역시 목표가 있으면 힘들어도 공부를 하게되더군요.

만화책을 봐도 주인공들이 처음에는 목표가 없이 방황하다가 어떤 계기를 통해서 확고부동한 목표가 세워진 이후부터 노력하는 모습을 자주볼수 있죠.

^^.. 젊은이여 야망을가져라..
04/03/10 16:49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하기에는 극상위권에 들려면 혼자서 공부하는 방법을 익히는게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잘 모르면 목숨을 걸고서라도 책등을 뒤져서 혼자서 알아내야죠. 특히 0.1%에 들려면 영어, 수학은 왠만한 학교 선생님 및 학원 선생님 실력 정도는 물(?)로 볼 수 있어야 하기에~ 배워서는 도저히 그렇게 될 수 없죠^^ 잠은 많이 자도 됩니다만 집중해서 한다면 피로도가 훨씬 커서 잠을 많이 자도 부족함을 느끼실껍니다만^^
열심히 살래요^
04/03/10 16:58
수정 아이콘
흠..0.1%에 대해서 꽤나 환상을 가지시는 분들이 많네요. 아무리 0.1%라도 그다지 깊은 지식을 꼭 가지고 있다는건 아니랍니다. 머 0.1%안에서도 정말 똑똑한 애들이 많긴 하지만..
정석보다강한
04/03/10 17:35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동등한 집중력으로 동일한 분량을 공부할땐 잠을 덜 자는 사람이 더 많이 공부를 할 수 있겠죠. 하지만 자신의 집중력을 키우는 연습이 잘 되어있으면 잠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해가 바탕이 되는 공부를 하려면 정신이 맑아야 하고, 잠이 부족하고 피곤한 상태에선 정신이 맑을수가 없거든요.

학원이나 학교나 자신에게 맞는 선생님을 만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XX학원이 잘가르친다고는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학원이 사람을 가르치는게 아니고 선생님이 학생을 가르치는거죠. 그러므로 XXX선생님이 잘 가르친다고 해야 옳은 것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학교가 못가르치는게 아니고 날 가르쳐주고 계신 학교 선생님이 나와 맞지 않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나와 정말 잘 맞는 선생님만 만날 수 있다면 학원보다 학교가 못할 곳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과외로 학생을 가르치고는 있지만 가장 좋은 공부는 1:1과외로 배우는것도 아닌, 대형 강의에서 전국적으로 인기 높은 선생님한테 배우는것도 아닌 자신 스스로 하는 공부라고 생각합니다. 이게 얼마나 중요한지 교육과정이 높아질수록 스스로 알 수 있습니다. 스스로 공부하고 모르는것, 의문나는것만 선생님께 물어볼 수만 있다면 대학생이 되어서 어려운 전문 지식을 공부할 때에도 두려울 것이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04/03/10 17:59
수정 아이콘
0.1% 에 대한 환상이 아니라 고등학교 공부에 대한 환상이 아닐까요?^^ 보통 이상의 머리에 집중력 있게 노력만 한다면 고등학교 공부 어려운 공부 아닙니다^^;; 쉽게 생각하세요~ 쉬운거 맞구요~ 단지 처음 접해보는 것이기 때문에 두렵고 하기 싫고 그래서 어려워 보이는 것일 뿐입니다.
하늘나는 돼지
04/03/10 19:28
수정 아이콘
제 경험에 미루어 봤을때는 혼자 공부하는 법을 익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이 드네요.... '익숙한것이 쉬운것이다' 이 대목은 정말 공감..특히 수학같은 과목은 더더욱 익숙한 것이 쉬운것이죠.. 생각해보면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수준의 수학은 거의 암기과목인것 같습니다(개인적 생각^^;;) 많이 푸는 사람이 이기는 과목..이죠... 새삼 이런 글을 보니 고3때 생각이 나네요...
새벽바람
04/03/10 20:56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 저 위에서 3번이 제일 중요한거 같네요..
흔히 말하는 공부 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의 대부분이 이 3번에서 갈리는것 같습니다. 또 공부는 열심히 하는거 같은데 성적이 안나오는 타입이 이 3번을 잘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반면 3번만 잘해도 좀 널널하게 괜찮은 성적 받는 경우도 자주 봤습니다. 심지어 대학와서도 이 법칙이 그대로 적용됩니다;
아케미
04/03/10 21:34
수정 아이콘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 하지만 너무나 지키기 힘든 이야기.
많은 분들이 말씀하셨듯 스스로 공부하는 법을 익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학원 가서 백날 들어도 결국 자신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끝나는 겁니다.
학원에선 졸음 쫓으며 지식을 주입받기만 하고, 학교 가면 "에이 이거 학원에서 다 한 건데… 잠이나 자자" 해버리면 갑갑한 노릇이죠. 제가 보습학원을 다녀본 적이 없기에 자세한 속사정은 모릅니다만.
아무튼, 저를 비롯한 중고등학생 여러분 모두 파이팅! 입니다^^
04/03/10 22:09
수정 아이콘
저는 4번이 공부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핵심적인 거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기억력이 최악인데 그래도 성적 잘 나온 이유가 어떤 과목이든지 논리관계 같은 것에 기초해서 외웠기 때문에 나중에 잊어도 생각해내고 그랬거든요.
04/03/10 22:10
수정 아이콘
공부는 의지의 문제입니다.
자기가 왜 공부하는지 깨닫지못하면 고교공부는 헛공부입니다.
윤수현
04/03/10 22:34
수정 아이콘
국사나 세계사같은 것들은 좀 큰 종이에 줄을 그어서 연도별로 정리해보면 다음부턴 눈에 잘 들어옵니다.
xx왜란,xx호란,xx정변같은 것들도 처음 하나만 외워놓으면 갑을병정...자축인묘....해가면서 연도도 차례로 나오구요.

4번의 최소한이 어마어마할때도 있죠...
약리 너무 싫어...누가 약이름을 그따위로 지은거야...ㅡㅡ+
빛나는 청춘
04/03/10 23:26
수정 아이콘
흠 내일 과외를 하는데 꼭 제가 가르키는 녀석에게 말해줘야 겠습니다.
그녀석과 연관 되는 내용이 많군요.. 요즘 너무 공부를 안해 무척 속 썩히거든요.. (제가 가장 좋아하는 원인과 결과... 맞는 말인듯..단순암기는 오래 못가죠..^^)
Pudding-*
04/03/10 23:33
수정 아이콘
'공부를 마친 후 정리 하는 습관을 가진다'가 가장 중요한 듯 싶군요.
짧은 시간 안에 최대한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자신만의 정리가 필요합니다.
-_- 뭐, 자습서같은데에 나와있는 간략정리 이런거 말구요,
자기가 스스로 연습장 같은데다 공부한 내용을 쭈욱-써보는 거지요.
책 보지 말고 자신의 머리 속에 있는 내용을 간략하게 개요잡듯이
적어나가다 보면 기억에도 오래남아요.
이런 식으로 '스스로 공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 이라고 생각합니다.
음...어디까지나 제 경험상이긴 하지만요;;


-_ㅜ 고3인데....가서 공부나 해야죠....으윽;;
맛동산
04/03/10 23:58
수정 아이콘
저는 개인적으로 시인님 말씀에 올인하고 싶습니다. 누군가가 1% 안에 든다면, 누군가는 99%이여야하는 법. 교육제도의 모순도 이것에서 출발하는 것 같습니다.
포켓토이
04/03/11 01:19
수정 아이콘
1번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없는건가요.
기억나시는 분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고스트 바둑왕(히카루노 고)에서 이스미가 프로시험에서 떨어진뒤 중국유학을 가서 중국의 고수인 양헤이를 만나 들은 조언이 1번과 같은 것이었죠. 참고삼아 전문을 옮기면
"마음을 컨트롤하는게 익숙치 못하구나. 주변의 눈이나 귀에는 신경쓰지마. 초조,안달,불안,허세,긴장,압박감... 항상 따라다니는 감정에 휘둘리면 안돼. 너한테는 가장 중요한거다. 돌만 바라봐라. 그건 자각과 훈련으로 가능한거야. 천성적으로 가지고 있는 능력과는 관계없어. 습득할 수 있는 기술이다."
저 역시 집중력이 모자란 편입니다만 집중력이란 것이 '습득할 수 있는 기술'이란 생각은 해본 적이 없네요. 제가 고등학생때 이런 충고를 들었더라면...
04/03/11 06:58
수정 아이콘
포켓토이// 음.... 1부에서는 못본 내용 같은데... 혹시 2부가 나오기 시작 했나요? 으악... 으악... 보고 싶어요....
하와이강
04/03/11 07:16
수정 아이콘
개학 시즌이라서 그런지 공부에 관련된 이야기가 많이 나오네요. ^^ 하나하나 다 공감가는 글이었습니다. 중고등학생분들은 꼭 한번은 읽어보고 마음에 새겨야 할만한 글들입니다. 어찌보면 대학공부 사회에서의 공부도 다 마찬가지인듯....
딱3일만
04/03/11 07:25
수정 아이콘
중고등학생들의 과외를 많이 해본결과 가장 중요한것은 공부하고자하는 의지입니다.. 학생들은 학교에서나 학원에서 수업을 듣는것을 공부라 생각하더군요.. 저는 제가 과외하는 학생에게 항상 "내가 너한테 문제를 풀어주거나 가르쳐주는건 해답지를 좀더 자세하게 읽어주는것 밖에 안된다고 항상 스스로 생각하면서 공부해라"고 그랬습니다."
어떤땐 못푸는 수학문제 하나로 2시간 보내고 온적도 있었죠..
요즘 학생들은 학교에서나 학원에서 배운 풀이법을 외우더군요;; 장래에 그런 공부가 절대 도움이 안될거라는걸 명심하고 스스로 문제를 풀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해답지 보고 푼 문제는 잊어버려도 자기가 풀어낸 문제는 절대 못 잊는 법이죠.. 이게 중요합니다..
서상근
04/03/11 10:35
수정 아이콘
이런건 공부 뿐만이 아니라 어떤 것을 하더라도 중요한 것 같네요^^
딱3일만님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과외하다 보면은 그런 아이들이 많더군요. 처음 과외하러 갈때 이런저런 문제로 테스트 해보니 잘하길래 오호 제법인데 했었는데 문제를 어감상 바꿔 버렸더니 못 풀더군요.
제가 과외 하면서 언제나 하는 말은 '수학에 정답은 없다. 다만 조금 더 일반 적인 풀이법을 알려주는 것일뿐이다.' 라는 말입니다.
수학문제집 뒤에 있는 것은 모범답지이지 정답지가 아니잖아요
암기보다는 이해를 해야하는거겠죠.
지나가던
04/03/11 11:53
수정 아이콘
수능 앞둔 고3 분들. 수학 점수를 올리십시오. 눈 딱 감고 정석 세번 풀면 전체 점수가 팍 올라갑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이게 가장 좋은 방법인 듯.) 원래 단순한 것이 가장 파워풀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04 [동정-호외??] 4U의 가나안은 어디에.. [39] SeungLee7062 04/03/11 7062 0
2802 공상비과학대전 - 메딕의 태양권!! [15] 총알이 모자라.3151 04/03/11 3151 0
2801 In sorrow and in joy [2] Yearn-3208 04/03/11 3208 0
2800 4인 4색, 감독 열전 - #3, 한빛 스타즈 이재균 감독님 [29] 막군6360 04/03/11 6360 0
2798 레슬메니아 20 최종 대진표! [19] Connection Out3334 04/03/11 3334 0
2794 게임계? 스타크래프트? [20] Zard가젤좋아4053 04/03/11 4053 0
2793 [잡담] 한빛...... [5] [한빛]3242 04/03/11 3242 0
2792 이번 시간에는 자기소개를 하도록 하겠어요! [26] 서창희3552 04/03/11 3552 0
2791 [소식]김철민 캐스터의 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났다고 합니다 ^^ [67] 막군7281 04/03/10 7281 0
2789 이제는 공중파다! [12] 리오그란테5913 04/03/10 5913 0
2788 apm... [22] 이레디에이터3308 04/03/10 3308 0
2787 중/고등 학생을 위한 공부 잘하는 방법. [33] lovehis8073 04/03/10 8073 0
2786 시작하는 고등학생을 위하여. [13] workbee3316 04/03/10 3316 0
2782 신해철 고스트네이션 - 대학'술'문화 [35] 공공의마사지4065 04/03/10 4065 0
2781 인생이라는 맵에서의 전투 [14] 총알이 모자라.3292 04/03/10 3292 0
2780 [잡담]신입생 분들 술많이 드시지 마세요 ㅠ.ㅠ [61] 허접태란5094 04/03/10 5094 0
2778 [잡담]고수가 맵허점을 이용할때 [11] 전장의안개3338 04/03/10 3338 0
2777 넋두리(젊은이여 강의실을 박차고 나와라) [26] 콘트롤 아티스2863 04/03/10 2863 0
2776 APM과 같은 종족 싸움 [19] 이준신3436 04/03/10 3436 0
2775 4월 15일이 무슨 날인지 아세요?^^ [33] Ace of Base4150 04/03/09 4150 0
2774 죄송합니다. 첫글을 퍼온글로 써서... [4] 루시퍼2945 04/03/09 2945 0
2771 리플레이 방송에 대한 몇 가지 생각 [5] 연*^^*2829 04/03/09 2829 0
2770 엠비시 게임에 부탁이 있습니다. [11] 해피맨4313 04/03/09 431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