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3/07 20:31:47
Name 두툼이
Subject MBC game에 바랍니다.[제목만 수정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 온게임넷, MBC game, Game tv(game tv는 이제 안나옵니다. ㅜ.ㅜ)를 모두 열심히 시청한 그리고 시청하고 있는 수천만명 중에 한 명입니다.

온게임넷과 MBC game... 다들 어떤 방송이 더 마음에 든다.. 이 방송은 어떻다..라는 등의 생각이 있으시고 또한 선호하는 방송이 있으실거라 생각이 듭니다.

전... 두 개의 방송을 모두 좋아라합니다.
온게임넷은 이래서.. 좋고.. MBC game은 또 이래서 좋고...를 떠나서 게임방송이기 때문에, 제가 좋아하는 게임을 중계하는 두 방송이 좋을 뿐이지 특별한 이유는 없습니다.

하지만 온게임넷과 비교할때 MBC game에 몇 가지 고쳐졌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 글을 쓰게 됩니다.

1. 자막 처리
자막 실수가 너무 많습니다. 경기 날짜가 맞으면 요일이 틀리고.. 요일이 맞으면 날짜가 틀리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제가 본 경우만 벌써 5번입니다. 어제 인텔 베스트전에서는 이윤열 선수의 프로필도 틀리더군요. 방송에서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조연출이나 연출분.. 시말서를 써도 몇 번은 쓰셨을 것 같지만.. 아직도 실수는 쭉~~ 계속되더군요.  자막 틀리는게 뭐?라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자막 실수는 조그마한 일이 아닙니다. 방송의 절대 요소인 정확한 정보전달을 못하는 것은 방송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세트 처리
세중의 세트는 초기보다 그나마 나아졌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스튜디오 촬영때의 세트입니다. 매주 보는 어바웃 스타크래프트를 볼 때마다 80년대 방송 세트를 보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혹시 HDTV를 보고 계신 분이 있다면 그 느낌은 더하리라 생각됩니다. 케이블 방송인데 뭐... 라고 하기엔 도를 넘어선 세트가 아닌가 합니다. 케이블 방송이라서 그냥 치나칠 일은 아니라고 봅니다. 케이블이기에 더 신경을 쓰셔야죠... 이 부분은 온게임넷에도 적용됩니다. 개인적으로 MBC game보다는 그나마 나은 편이라 생각되지만 그래도 좀더 신경을 써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3. color
두 방송사의 컬러를 비교하자만 온게임넷은 화려하고 MBC game은 침울합니다. (죄송합니다. 이런 표현을 써서.. 하지만 이보다 제 느낌을 더 잘 표현하고 있는 단어가 떠오르지 않아서요..) 온게임넷은 원색을 적절히 아니 조금 과하게 사용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눈에 확 띄고 게임의 특성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고 봅니다. 물론 눈이 피곤할 때도 있지만요. 이에 비해 MBC game은 좀 너무하다 싶을 정도로 침울합니다. 원색을 지양하고 파스텔톤의 채도가 낮은 색깔을 주로 쓰시더군요. 신나는 게임을 보다가 그래픽 디자인이나 세트의 color를 보면.. 느낌이 팍 가라앉습니다. 좀더 포인트 색깔을 적절히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4. 로고, 게임타이틀, 오프닝 영상
온게임넷은 자사 로고 및 각 게임타이틀을 브랜드화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선두주자로서 당연한 일이고 마케팅 부분에 있어서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기다란 직사각형에 빨간색과 흰색, 마우스를 잡고 있는 사람의 형상을 보면.. 스타리그요, 똑같은 그림에 파란색이 들어가 있으면 프로리그요, 광고도중 우측 상단에 프로그램 타이틀명 제시에 나오는 별 모양은 온게임넷의 상징이죠..
하지만 이에 비해 MBC game은 아직 자사 로고 및 각 게임타이틀을 브래드화하는데 있어서는 아직 걸음마 단계인 것 같습니다. 팀리그 오프닝 영상은 선을 역동적이게 직선으로 움직이며 표현되어 있고... MSL도 이와 비슷하게 선이 움직이며 산을 그리죠. MBC game을 보면서.. 늘 혼자 중얼거리는 말은 그래픽 디자이너 혹은 연출가께서 "선"을 굉장히 좋아하는구나 입니다. 그리고 최근 인텔 베스트전에서의 영상은 정말... ㅡ.ㅡ;; (짝짓기 프로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물론 MBC game 좋은 방송이고 발전하는 방송입니다.
하지만 시청자는 잘하는 점보다는 잘못한 점을 더 기억하기 나름이고.. (이래서..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라는 책에서는 긍정적인 관점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고 있죠) 칭찬보다는 비판을 하게 마련입니다.
전.. 온게임넷의 독주를 원하지 않습니다. MBC game과 경쟁적인 관계가 지속되어야만 게임방송이 더 발전하리가 믿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game TV는 많이 아쉽습니다) 제가 늘 보는 MBC gaem과 온게임넷의 발전을 기대합니다.

*** 글을 써놓고...다시 들어와보니.. 제목과 내용이 동떨어진 면이 있네요... 제목을 수정했습니다.


P.S  하와이강님의 글을 읽고.. 몇 년째 손에서 놓았던 영어와 일어 공부를 다시 시작하려 합니다. 늘 외국어에 자신이 없어서 아예 피했는데.. 사회 생활을 지속하자니 도저히 멀리 할 수 없네요. 멀리할 수 없다면 정복하라라는 말을 되새깁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전제일
04/03/07 20:38
수정 아이콘
양방송사 모두에서 가장 많이 실수가 '되는' 선수는 누가 뭐라해도 '김환중'선수라지요..^^;;;
온게임넷에서는 프로리그때 내내 한빛 소속으로 나왔으며.(==;;;)엠비씨게임 편성표에서는 이름이 잘못나오던...
3,4번에는 정말 동감합니다. 가끕 갑갑하지요. 외려 더 좋아하시는 분들도 있으시겠지만요.^_^;
비류연
04/03/07 20:39
수정 아이콘
2번 3번에 심히 공감합니다. 2번 같은 경우는 엠겜, 온겜 뿐만 아니라 정규방송에서도 느껴지더군요-_-;;
04/03/07 20:39
수정 아이콘
4번 공감합니다. MBC game이 그래픽적인 부분에도 좀 더 신경을 썼으면 좋겠습니다.
솔직히 말하면-_-; 촌스러워 보입니다;;
RaiNwith
04/03/07 20:40
수정 아이콘
두툼이님이 지적하신 mbc game의 3,4번 문제는 좀 보완이 되었으면 한다는 생각을 저도 했었습니다. 앞으로 나아질거라 믿구요.
온게임넷의 경우에도 아쉬운점은 있습니다. 온게임넷 베스트하이라이트 라는 프로그램의 경우 가끔씩 심하게 틀리는 경우가 많더군요. 선수이름부터 경기결과나 팀명도 이상하게 배치될때가 있구요. 가끔은 방송사에서도 자사 스타리그에 관심없는 사람이 이 프로 맡는건가... 싶을때도 있었습니다.
포카칩
04/03/07 20:42
수정 아이콘
시청자들이 떠너가진 않죠 .
샤이닝토스
04/03/07 20:52
수정 아이콘
1번을 제외하면 사고라고 보기 어려운데요..
04/03/07 21:03
수정 아이콘
그런 문제 가지고 떠나기 보다는 많은 논의로서 발전적인 모습으로
거듭나야 되겠지요..
아이노드
04/03/07 21:22
수정 아이콘
색감 문제는 공감하는 부분입니다.
Jeff_Hardy
04/03/07 22:07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는 "작은 실수에 시청자가 떠나간다" 라기보다는 "작은 실수에는 시청자가 눈 감어주는게 좋다" 라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자막이 틀렸다거나 수상경력등에 실수가 있을때는 지적까지야 좋은 반응이지만 떠나갈 필요까지야...
색감은 뭐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요. 그리고 전 엠겜 색감이 나쁘다고는 생각하지 않은데..^^;;
동영상에 더 비중을 두자에는 찬성입니다. 마이큐브때부터 시작해서 선수들이 오프닝화면에 등장하는 모습은 정말 멋집니다.
그리고 샤이닝토스님 말씀처럼 1번을 제외하고는 사고라고는 보기 어렵죠..
미츠하시
04/03/07 22:34
수정 아이콘
100% 동의 하는 동시에 한가지 더 ...
요즘은 잘 안보이다가 어바웃에서 갑자기 나타났죠
팀리그 처음 시작할때 보신분은 알겁니다
게임을 보기 힘들뿐만 아니라 정작 게임을 하는 프로게이머들도
짜증내할 순간순간의 멈춤 정말 짜증납니다
어느순간 고쳐지더라구요 너무 좋아서 잊고 살았는데
어바웃에서 최근에 엄청난 끊김을 본 기억이 납니다
이것도 상당히 온게임넷에 굳이 비교를 하자면
횟수가 많습니다 압도적으로요
과자공장사장
04/03/07 23:00
수정 아이콘
예전 스타리그 만드시던 온게임넷 pd님이 하시던 인터뷰가 생각납니다.
"엉성한 cg와 그래픽들로 케이블 tv가 다 그렇지 뭐,,라는 생각,절대 들지 않게 만들겠다"고...그 분이 지금 하시는 것 같지는 않지만...
정확치는 않지만 그런 내용이었어요.
그래서 그런지, 비쥬얼면에서 온게임넷이 훨씬, 뛰어난게 사실이지요.
게다가,방송 중의 작은 실수라도 눈감아주면 안 된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자막도, 중계진의 실수도, 사회자의 실수도 말입니다.
자유로운 방송이 케이블이지만, 제가 틀어놓고 있으면
부모님은 "저렇게 아무렇게나 말하는게 방송이냐"고 하시더군요.
사소한 것에서, 시청자는 떠나갈 수도 있습니다.
정말 좋아하는 보조 mc분이 있었는데
그 분이 결승전에서 "깔쌈하다"라는 말을 쓰시는 걸 보고....많이 놀랐죠 ..
게임채널이 그래도 인지도 있는 채널로 자리잡으려면
내용은 물론 형식면에서도 어느정도, 갖추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게임채널은 자유로운 채널인 것이 사실이지만,
자유로운 만큼, 외면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요.
결국 게임리그를 중계하는 방송의 성장=프로게임시장의 성장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니만큼, 더욱 작은 것에도 정성을 기울이는 방송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자일리틀
04/03/07 23:04
수정 아이콘
모두 거의 다 공감하는 내용이지만,
아직 온게임넷, 엠비씨게임 이라는 채널이 생긴지는 오래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쭉 지겨보겠습니다^^ 물론 따끔한 비난의 한마디도 있으면 좋겠네요.
아 그리고, 저는 1번에 유난히 공감합니다.
ex)예전 온게임넷 플래쉬백 Flash Back인가요? 거기서 오프닝이나 엔딩 CG화면에서 플래쉬백이라는 단어 중에 한 글자가 틀렸었던걸로 기억하구요, 선수들의 프로필도 가끔 어이없게 나오는 경우가 있죠^^ 최근에 본 기억으로는 피망 온게임넷 프로리그 결승전에서 조규남 감독의 프로필이 나올때 슈마 대신 투나가 적혀있던것 하고, 어제 있었던 인텔 베스트 커플전에서 이윤열 선수의 프로필 중 TG삼보배 MSL우승이라고 나온것이 있네요.
04/03/07 23:25
수정 아이콘
다른 것보다 표준어 좀 사용했으면 합니다. 진행자들-스타리그빼고-의 자질이 의심스러운 방송 너무 많습니다. 물론 전 그런 방송 안 봅니다. 3분이상 듣고 있으면, 과연 이 방송을 누가 보지? 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리 작은 프로그램이라도 많은 분들의 정성이 들어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 프로에서 사소한 진행자의 말 한마디나 그래픽 같은것으로 그 한 프로를 위해 고생하시는 분들의 노력이 무산되어서는 안될 것 같습니다.
04/03/07 23:38
수정 아이콘
자막 같은 경우는 정말 틀리는 경우가 허다하더군요. 선수들 이름(예:김금백, 김성재)이나 소속팀을 참 많이 틀리던데 신경 좀 썼으면 싶습니다.
hansnova
04/03/07 23:55
수정 아이콘
저는 색감이 저희쪽 지역 케이블에만 나쁜건줄 알았는데 아니었군요 -_-; 특히 게임에 들어가면 확실히 어두침침하고 흐릿한 느낌이라는.. 또 기타 게임 프로그램들의 세트가 좀 부실하죠 ;;
04/03/08 00:20
수정 아이콘
3번 색감문제는.. 지역마다 나오는 화면이 조금씩 틀린걸로 알고 있는데요. 저희집 같은 경우는 온게임넷이 약간 어두운듯한 화면에 우울해보이는듯한 느낌이고 mbc게임이 화면도 선명하고 색감이 좋은 편입니다.
Ms.초밥왕
04/03/08 00:36
수정 아이콘
저도 색감은 온겜넷보다 엠비씨게임이 더 좋습니다..^^;
그래서 엠비씨게임을 더 즐겨 보는 편이죠..

3번을 제외하고 1,2,4번은 정말 100000000% 동감입니다.ㅠ_ㅠ
특히 2번!!
쫌 그렇더군요..-_-; 셋트가 멋있으면 왠지 더 품격(?)있는 프로같고,
또 그 안에 있는 진행자분들이 더 멋있게(?) 보이지 않나요..
정말 셋트가 조금 촌스러워요..
케이블 방송이기에 더 신경써야 한다는 어떤 님의 말씀이 정말 공감이 갑니다.. 게임리그나, 기타 게임 방송이 더욱 발전을 하려면,
운영상의 발전도 물론 중요하지만, 이런 부수적인 조건..(전용 심볼이라든지, 셋트 구성이라든지, 화면구성 , 진행자들의 표준어 사용 같은..)이
무엇보다 발전을 해야 사람들의 이목도 더 끌고 더 많은 사랑을 받지
않을까요..
화랑담배연기
04/03/08 00:53
수정 아이콘
저는 mbc게임을 온게임넷보다 더 즐겨보지만,, 인트로 영상이라던가
선수 소개 화면등이 나오면 한숨이 푹푹 나옵니다.
솔직히 말해서 mbc게임의 그래픽은 눈뜨고 보기 힘들 정도입니다.
도대체 단가를 얼마나 낮게 후려쳣길래 그런 형편없는 그래픽이 나오는지 의문입니다. 초당 1000원?
사실 온게임넷과 경쟁하려면, 좀 더 과감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온게임넷 그래픽은 아무래도 kmtv(온미디어)쪽 인력이 담당하는 듯 한데..
kmtv나 m.net 의 그래픽 수준은 아시다시피 mtv나 채널v 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거의 세계최고 수준입니다.
비슷한 수준의 상품이라면,, 역시 포장이 잘 되어 있어야 잘 팔리는 법입니다. mbc게임... 마음 단단히 먹지 않으면 영원히 온게임넷을 따라잡을 수 없습니다.
04/03/08 01:12
수정 아이콘
3번의 경우 지역차가 심하겠죠 저희집도 온겜넷이 훨 떨어집니다. 전 온겜넷이 원래 그렇게 후진컬러인줄 알았는데 이제보니 지역차 때문이군요. 3번 빼고는 동감하는 바입니다. 컬러는 지역차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돼었군요.
i_beleve
04/03/08 02:34
수정 아이콘
저희집도 온겜은 좀 불투명한 느낌이고 엠겜은 선명하고 차분한 느낌입니다.
04/03/08 03:05
수정 아이콘
뭐.. 이런 저런 문제가 산재해 있긴 하죠.. MBC game의 자막 오타는..
종종 나오는 문제이긴 합니다만.. 확실히 고쳐지진 않고 있죠..(예:변기섭 -_-;;)
그래픽의 경우는 제가 거주하고 있는 집의 경우는 양 방송사 모두 양호 합니다.
뭐.. 다만 한가지 좀 부적절한 것은.. 스타리그 외 프로그램의 진행자겠죠..
비 전문 진행자들을 포진 시키다 보니.. 부적절한 방송용어가 튀어 나오는 경우도 있고..(예:노가다 드랍)
아니면 솔직함이 미덕이라고 생각하는 건지 아무 생각도 없는건지는 몰라도..
CU@BATTLE.NET 에서의.. '솔직히 이번 온게임넷 결승전은 흥행에선 실패했습니다..왜냐? 같은 종족 싸움이니까.. 그것도 두번이나..'
이런게 과연 아무리 타 프로그램 이라고 해도.. 해당 방송사의 프로그램 진행자 입에서 나왔어야 하는 말인지는 좀 의문이 들더군요..
히릭스
04/03/08 07:24
수정 아이콘
화랑담배연기님/한가지 살짝(^^;)태클을 걸자면요. kmtv는 온미디어쪽 계열이 아닙니다. 오히려 kmtv는 MBC게임 쪽 계열이라고 보는게 맞구요. MTV가 온미디어소속(?)의 음악방송이므로 온게임넷 CG와 MTV CG를 만드시는 분들은 같은 분들이겠죠. 물론 외주업체에 부탁해서 제작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지만, 제가 알기론 온미디어쪽이 CG쪽에 많은 투자를 한다고 합니다. 살짝 태클이었습니다.^^
해피맨
04/03/08 09:12
수정 아이콘
4번에 공감이 가는군요.
엠겜하면 딱 떠오르는 뭔가가 부족한것 같습니다.
게임 카피는 강력하고 좋던데~~
그리고, 저희 쪽도 색감은 엠겜이 좋습니다.
선명하면서도 눈을 자극하지 않는 편안함이 있더라고요.
지역차가 좀 있나봅니다.
04/03/08 12:14
수정 아이콘
MBC게임은 그래픽이 너무 ... 이런 말 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촌스럽고 유치합니다. 예전 온게임넷만 보다가 겜비씨를 보게됐을때는 1,2,3,4에 해설까지 온게임넷에 뒤진다고 생각했었는데 지금은 그래픽만이라고 생각합니다. 아, 그리고 그 타이틀 영상에서 슝슝~하는 소리도 좀..;
04/03/08 12:32
수정 아이콘
재미있는것이 똑같은 MBC게임에서만드는 "워3프라임리그"는 계임방송사상 최고의 깔쌈함(죄송)을 보여주죠. OSL보다 더욱더....
왜 그런차이가 나타나는지 궁금하네요. MSL만드는팀과 프라임리그 만드는팀은 서로 다른팀인걸까요...?

ps. KMTV와 M.NET의 그래픽수준....많이 올라갔습니다만 아직은 좀 멀은거 같기도하죠...^^;;;
04/03/08 12:35
수정 아이콘
얼핏 듣기로 프라임리그는 장재영 해설이 직접 CG 작업한다고 하더군요.
하와이강
04/03/08 13:21
수정 아이콘
저는 항상 VOD만 보기 때문에 뭐 양쪽다 똑같은것 같아서 별 느낌이 없지만, 지난 마이큐브부터 온겜넷의 오프닝은 정말 멋있더군요. 스피디 하면서 세련된.. 그리고 어딘지 모를 절제된듯한 감칠맛이라고나 할까요? ^^;;

아.. 그리고 두툼이님 영어공부 열심히 하세요~ ^^;;
네버마인
04/03/08 16:26
수정 아이콘
모두 동감합니다. 엠겜은 엠비씨가 미술센터로 유명세를 떨치는 것에 비해 너무하다 싶을 정도로 그래픽이 떨어지죠.
지역에 따라 잘 나오냐, 안 나오냐의 문제가 아니구요. 그에 반해 온겜은 화면이 참 다양하고 화사하죠. 정성도 느껴지구요.
저도 두 방송을 즐겨보는 사람으로서 엠겜의 세트나 그래픽이 좀 나아졌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그래도 초기에 비하면 정말 많이 나아진거죠. 너무 후지다고 쳐다보는 것도 싫어했던 제 친구가 지금은 그럭저럭 보니까요......^^
프토 of 낭만
04/03/08 18:09
수정 아이콘
"프라임리그는 장재영 해설이 직접 CG 작업한다고 하더군요."
저도 이렇게 알고 있구요. 아마 WAU-장재영 해설 편에서 나왔을 겁니다.

그리고 저는 엠겜의 거의 고정적인 BGM에 대해서 불만이 많습니다...
04/03/08 19:23
수정 아이콘
댓글에..잘못아시는 부분...있어서...살짝~
2001 SKY 때부터..한게임 스타리그 까지는 같은사람이 연출을 한답니다.^^; 다음시즌에는 바뀝니다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69 오케스트라 지휘자 하성호 한국 비하 발언 [52] kips76133 04/03/09 6133 0
2767 e스포츠 세미나 잘 끝났습니다. 감사합니다. [22] 정일훈3511 04/03/09 3511 0
2764 [잡담]전태규 선수의 행동의 대해서. [135] 허접태란13028 04/03/09 13028 0
2763 어머니와 핸드폰.. [7] 이의용2877 04/03/09 2877 0
2762 어제 있었던 감독대항전 사진들 몇 장 찍었습니다. [28] 공룡5882 04/03/09 5882 0
2761 초보저그유저 고수만들기! [27] 선없는세상을3883 04/03/08 3883 0
2760 3월 이맘때쯤이면 더욱더 생각나는 그 이름 [12] Ace of Base4859 04/03/08 4859 0
2759 오늘 MBC게임 스토브리그들!! [10] 황지훈4940 04/03/08 4940 0
2758 이젠 이별을 준비하려고 해~ [6] Be_on_Da3230 04/03/08 3230 0
2757 [잡담]오늘 제가 배넷에서 겪은 일 [19] 개념있는플레3115 04/03/08 3115 0
2756 [초잡담]내가 겪은 사건&사고들... [5] 저그맨3196 04/03/08 3196 0
2755 Fear Factory......팩토리를 무서워 하라.. [18] 크게될놈4137 04/03/08 4137 0
2754 [도움글][2-2회] 영어가 GG칠때까지! [24] 하와이강5038 04/03/08 5038 0
2753 김철민 캐스터 검사결과가 나왔답니다... [83] Gatzu&Far Seer7724 04/03/08 7724 0
2752 <첫글입니다> '실미도 vs 태극기' 난 이렇게 봤다 [16] honeyspirit4217 04/03/08 4217 0
2751 김C의 음악살롱때문에 ....<배경음악있음> [15] 공공의마사지4062 04/03/08 4062 0
2750 여유로 살아간다니.... [6] 아카디아2989 04/03/08 2989 0
2749 긍정적인 마음의 힘을 강변하는 어느 과학서적의 글.. [6] i_terran3293 04/03/08 3293 0
2748 [잡담] 프로그램?!으로 알아보는 정당 선호도 [52] 아방가르드4507 04/03/07 4507 0
2747 철민님께 생일축하글을 남겨주세요. [67] 그린피스3267 04/03/07 3267 0
2744 팬들이 호구냐? [25] 어딘데5547 04/03/07 5547 0
2743 [잡담]한번만 더 생각 해봅시다... [1] Planner2861 04/03/07 2861 0
2742 MBC game에 바랍니다.[제목만 수정했습니다] [30] 두툼이4876 04/03/07 487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