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2/03/08 21:54:44
Name VictoryFood
Subject [일반] 공무원 실수로 선거권 박탈 계속 나와, 그리고 후속조치.gisa
관련글 : https://pgrer.net../election/5726

[OK!제보] 공무원 실수로 선거권 박탈…"국가 상대 소송하겠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3036772

공무원 실수로 선거권 박탈…"직원 어리니 배려해달라"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55&aid=0000958671

어제 올라온 글은 광주광역시와 전남이었는데 오늘 기사는 경기도 구리시네요.
역시나 선거구명부 실수였는데 이번에는 선관위에 문의해 - 이의신청 기간은 지난듯 합니다 - 신분증 들고 가면 투표할 수 있다는 말을 믿고 사전투표장에 갔지만 현장에서는 안됐다고 합니다.

그리고 선관위는 동사무소 직원 개인의 실수라 동사무소 직원을 상대로 손배소를 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동사무소에서는 직원의 실수니 배려해 달라고 했고, 피해자는 직원 개인에게 손해배상을 원하지 않는다고 했네요.

그런데 이거 어디서 많이 보던 모습 아닙니까?
파견직 노동자에게 과도한 업무를 넘기고 그 책임까지 떠넘기는 것이 떠올는 것이 흔한 대한민국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반찬도둑
22/03/08 22:05
수정 아이콘
평범한 대한민국입니다
오렌지망고
22/03/08 22:06
수정 아이콘
선관위에서는 소송 대비 보험 들었다고 하더니 정작 현장에서 소송걸릴만한 일을 하는 지방직들은 관련 문제가 생기면 국가 책임도 아니고 동사무소 직원 개인 상대로 소송하라고 하는군요.
아구스티너헬
22/03/08 23:30
수정 아이콘
최소한 이건은 선관위 잘못은 아니죠
다른 잘못은 많지만..

그리고 공무원의 직무상 실수는 종류와 유형에 따라 당연히 민형사 책임이 따릅니다.
밀리어
22/03/08 22:11
수정 아이콘
이거 선관위 무시하고 국가상대로 소송하면 어떨지 궁금하네요.
22/03/08 22:11
수정 아이콘
mbn 뉴스에서 맨날 화나있는 아저씨가 이 말은 손해배상 해서 지면 그 책임 말단 공무원한테 떠넘기려는거 아니냐고 애꿎은 최단비 변호사를 갈구더군요 크크크크
인민 프로듀서
22/03/08 22:13
수정 아이콘
하지만 동사무소는 A씨의 투표권이 상실된데 대해 책임을 지기보다는 조용히 넘어가자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동사무소 관계자는 A씨와 통화에서 "해줄게 없다"면서 "행정소송 등을 해도 변호사를 선임하고 판결 나오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직원이 어리고 월급도 적다. 배려해주었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이게 할말입니까? 중학생 데려다가 일 시킨것도 아니고 엄연히 성인인데 어리다고 봐주자니.
성인은 어리지 않아요. 이런게 바로 청년 무시하는 발언인데.
원시제
22/03/08 22:37
수정 아이콘
사실 동사무소 관계자가 할 수 있는 말이 저정도밖에 없긴 하죠.

동사무소 관계자가 무슨 능력이나 권한이 있어서 대안을 마련해줄 수 있는것도 아니고,
자기가 대신 책임을 져줄 수 있는 일도 아니고, 그렇다고 남일이라고 그럼 소송하십쇼 하고 넘어갈수도 없으니
그냥 불쌍하니 한번만 봐주시면 안될까요. 읍소하는게 그나마 사고친 직원을 위해 할 수 있는 언급이죠.
인민 프로듀서
22/03/09 08:19
수정 아이콘
나이 때문이라고 말하는게 너무 어이없어서 댓글 달았습니다... 성인직원인데 나이어리니까 봐달라는게 너무 넌센스잖아요.
azure.14
22/03/08 22:17
수정 아이콘
그냥 국가가 배상하는거지 말단공무원이 뒤집어쓸일은 웬만하면 없을텐데..
키마이라
22/03/08 22:28
수정 아이콘
대선 한표의 가치가 6천만원이라는 기사도 있는데 국가가 그만큼 배상해 주겠죠?
제3지대
22/03/08 23:17
수정 아이콘
말단에게 과도한 업무를 떠넘기고 과도한 책임까지 떠넘기는 이런 구조는 언제쯤 사라질까요?
타츠야
22/03/09 07:47
수정 아이콘
"동무사무소 직원이 선거인명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지난달 19일 사망한 A씨 시아버지의 사망신고서를 확인하지 못한 것이다.
또 A씨 시아버지의 등록이 말소된 주민등록등본을 보고도 확인하지 않고 시아버지를 선거인명부에 올리고 A씨를 제외했다."

다른 정보가 추가로 필요하겠습니다만 이 정도는 과도한 업무라고 보기는 힘들지 않나요? 등록 말소가 된 서류를 보고도 일처리를 제대로 안 했으면 말단이고 뭐고 간에 그건 그 사람이 문제죠.
우리아들뭐하니
22/03/08 23:24
수정 아이콘
공무원에게도 중대재해법을..
22/03/09 09:30
수정 아이콘
저런건 지자체장 상대로 소송해서 지자체 차원에서 배상하고 실수한 직원은 안타깝지만 어느정도의 징계는 받아야죠.
22/03/09 14:48
수정 아이콘
일을 제대로 못한건 책임을 져야하는거 아닌가 싶긴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849 [일반] 피지알 선게 불판을 보다보니 [40] Arya Stark6708 22/03/10 6708
5848 [일반] 윤석열대통령되면 주52시간 노동이 취소될수있을까요?? [121] Demi8257 22/03/10 8257
5847 [일반] 문재인 정부에서 30대가 피해본 체감적인게 뭐가있을까요? [84] 핸드레이크5998 22/03/10 5998
5846 [일반] 피지알 정치 성향이 언제쯤부터 바뀐건가요?? [77] 외쳐225559 22/03/10 5559
5845 [일반] 이대남/이대녀는 과연 존재했을까요? [18] Restar6301 22/03/10 6301
5844 [일반] 윤석열 정권이 대 중국노선을 정한다면 확실히 했으면 합니다 [116] Nerion10515 22/03/10 10515
5843 [일반] 이번 대선기간 잊을 수 없던 날 1월6일 [37] valewalker8307 22/03/10 8307
5842 [일반] 이준석의 절반의 성공 [161] 치느13917 22/03/10 13917
5841 [일반] 20년 친민주 유권자가 윤석열 당선인께 바라는 점.. [22] 돈테크만6581 22/03/10 6581
5840 [일반] 문재인 대통령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요? [125] 우주전쟁11308 22/03/10 11308
5839 [일반] 윤석열 당선인에게 올리는 말씀. [38] 류지나7081 22/03/10 7081
5838 [일반] 박경미 대변인 "낙선한 분과 지지자들께"…대국민 메시지 읽다 '울먹' [113] 판을흔들어라12347 22/03/10 12347
5837 [일반] End game의 끝. [2] 토니토니쵸파5558 22/03/10 5558
5836 [일반] 윤석열 당선인에 대한 미국, 영국, 일본의 축하 메시지 [37] 닭강정8190 22/03/10 8190
5835 [일반] 앞으로 민주당을 찍을 일이 있을까 [153] 니체11321 22/03/10 11321
5834 [일반] 21대 총선과 이번 대통령 선거 연령별 지지율 변화 - 요동치는 2030 [30] 사이먼도미닉7178 22/03/10 7178
5833 [일반] 제가 대선에서 처음으로 보수당에 투표하게 된 이유 [32] 설탕가루인형형8502 22/03/10 8502
5832 [일반] 이준석 대표의 감사 인사 (그리고 그의 미래는...?) [115] 덴드로븀11326 22/03/10 11326
5831 [일반] 이번 선거의 나름대로 정리 [62] Restar8247 22/03/10 8247
5830 [일반] 윤석열이 이긴 지역과, 이재명이 이긴 지역 비교. [20] Leeka6538 22/03/10 6538
5829 [일반] 역대 대통령들 득표율/득표수 + 2위와의 차이 [69] Leeka8470 22/03/10 8470
5828 [일반] 단일화의 효과는 있었는가. [71] akroma9232 22/03/10 9232
5827 [일반] 제 20대 대통령 선거 소감 [19] 니시노 나나세7866 22/03/10 78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